뷰페이지

[데스크 시각] 무대는 무대를 버려야 한다/김상연 정치부 차장

[데스크 시각] 무대는 무대를 버려야 한다/김상연 정치부 차장

입력 2014-10-03 00:00
업데이트 2014-10-03 00: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김상연 정치부 차장
김상연 정치부 차장
지난 8월 20일 김무성(63) 새누리당 대표의 관훈클럽 토론회에서 가장 흥미로웠던 대목은 이 문답이었다.

“무대(김무성 대장)라는 본인의 별명을 어떻게 생각하나.”(기자)

“어릴 때부터 대장이라는 말을 많이 들었다. 거부감은 없는데 마초적 인상을 갖는 것은 좀 피했으면 좋겠다.”(김 대표)

단서를 달아 세련되게 표현하긴 했지만 결론은 자신의 별명이 마음에 든다는 대답이다. 그런데 이 대답은 실상 이율배반적이다. 군대 계급으로서의 ‘대장’을 제외하고 일반적으로 대장이라는 호칭에는 원래 마초적 인상이 담겨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이 대답만 놓고 보면 김 대표는 ‘마초’를 내포한 자신의 별명을 부지불식중에 애호한다는 얘기가 된다.

여성들에게 고백하건대, ‘테스토스테론’을 숭상하는 남자들의 세계에서 대장이라는 별명은 ‘로망’이다. 특히 어릴 때 ‘골목대장’으로 불리고 싶지 않은 남자는 찾기 힘들 것이다. 하지만 성인(成人)이 된 뒤에, 그것도 환갑이 넘은 정치인이 대장이라는 별명에 대해 공개적으로 싫지 않다는 반응을 보이는 것은 좀 민망하다.

김 대표는 별명만 그런 게 아니라 행동도 정말 대장처럼 한다. 누구를 만나더라도 허리를 잘 숙이지 않는다. 김 대표는 이날 토론회에서 “인사할 때 허리를 숙이지 않아 건방지다는 얘기가 있다”는 질문에 “민주화 투쟁을 하면서 경찰한테 맞아 허리를 다쳤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허리의 각도만이 건방짐의 기준이 되는 것은 아니다. 사람들은 상대방의 총체적인 행동양태를 보고 인물평을 내린다. 정말로 허리가 아파서 못 숙인다면 두 손으로 악수를 하거나 얼굴 표정이라도 동원해 충분히 겸손하게 보일 수 있다.

보무도 당당한 이 이순(耳順)의 ‘대장’은 이제 최고 권력 앞에서도 위축되지 않는다. 지난달 16일 청와대에서 박근혜 대통령과 악수할 때 김 대표는 고개만 살짝 숙였다. 다른 새누리당 지도부 인사들이 대통령의 손을 두 손으로 엉거주춤 잡고 허리를 거의 90도로 숙이며 ‘황송한 악수’를 하는 모습과 대조적이었다.

문제는 이런 ‘무대’의 서슬이 약자에게까지 ‘공평하게’ 적용된다는 점이다. 김 대표는 지난달 12일 씨름협회장이 “의원들이 입씨름만 하지 말고 씨름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게 어떠냐”고 좀 튀는 농담을 던지자 “우리 의원들이 씨름인들한테 조롱거리가 되니 기가 막힌다”고 얼굴을 붉히며 자리를 박차고 나가 버렸다. 권력의 크기로만 따지면 여당 대표의 100분의1도 안 될 법한 협회장을 그렇게 무참히 ‘두들겨 패는’ 것은 아름다워 보이지 않았다. 골목대장도 약한 아이를 때리면 좋은 소리를 못 듣는 법이다. 김 대표는 지난달 1일 전통시장을 방문했을 때도 약자 중의 약자인 상인들이 “정치인들이 명절 때만 시장을 방문한다”고 꼬집자 “그럼 시도 때도 없이 방문하느냐”고 맞받았다.

다시 관훈클럽 토론회로 돌아가 보자. 기자의 질문에 김 대표가 이렇게 대답했다면 어땠을까. “김구 선생님은 백정같이 천하고 범부처럼 평범한 사람이라는 뜻으로 백범(白凡)이라는 호를 가졌는데, 저는 이 나이가 돼서 그런 별명을 듣다니 부끄럽습니다. 앞으로는 저를 무대가 아닌 무졸(卒)로 불러주십시오. 제가 졸병이 돼서 국민 여러분을 대장으로 모시겠습니다.”



carlos@seoul.co.kr
2014-10-03 22면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