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농악, 유네스코 무형유산 등재

농악, 유네스코 무형유산 등재

입력 2014-11-28 00:00
업데이트 2014-11-28 03: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한국 17건 보유… 北 아리랑도 첫 확정 “활력·창의적… 참가자들에 정체성 부여”

농악이 유네스코의 인류무형유산에 등재됐다. 한국의 인류무형유산 등재는 17번째다. 북한의 ‘아리랑’도 인류무형유산에 등재됐다.

27일 문화재청에 따르면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는 이날 프랑스 파리 유네스코 본부에서 9차 회의를 열어 한국이 신청한 ‘농악’을 인류무형유산으로 등재하기로 결정했다.

이로써 한국은 2001년 종묘제례 및 종묘제례악을 시작으로 강릉 단오제(2005년), 강강술래, 남사당놀이, 영산재, 제주칠머리 당영등굿, 처용무(2009년), 가곡, 대목장, 매사냥(2010년), 택견, 줄타기, 한산모시짜기(2011년), 아리랑(2012), 김장문화(2013년) 등 인류무형유산 17건을 보유하게 됐다.

농악은 2011년 3월 유네스코 인류무형유산 대표 목록으로 제출되며 등재가 추진됐다. 지난달 29일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 산하 임시소위원회인 심사보조기구에서 만장일치로 등재권고를 받았다. 등재권고 판정 당시 심사 당국은 “활력적이고 창의적이며 1년 내내 다양한 형태와 목적으로 많은 행사장에서 공연이 이뤄지고 있으며, 공연자와 참여자들에게 정체성을 제공하는 유산”이라고 평했고, 한국의 농악 등재 신청서를 모범 사례로 꼽기도 했다.

한편 유네스코 무형유산위원회는 이날 북한이 신청한 아리랑을 인류무형문화유산으로 등재하기로 결정했다. 북한이 인류무형유산을 등재한 것은 처음이다. 이로써 아리랑은 남북한 모두 인류무형유산에 등재하게 됐다. 공식 명칭은 ‘조선민주주의인민공화국의 아리랑 민요(Arirang Folk song)’다. 북한의 아리랑에는 평양, 평안도, 황해도, 강원도, 함경도, 자강도 지역의 구전 아리랑이 포함됐다.

김승훈 기자 hunnam@seoul.co.kr
2014-11-28 6면

관련기사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