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잠수함 사령부 창설 “美 퇴역 순양함, 어뢰 단 1발로 격침” 대박

잠수함 사령부 창설 “美 퇴역 순양함, 어뢰 단 1발로 격침” 대박

입력 2015-02-01 22:24
업데이트 2015-02-01 22:2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잠수함 사령부 창설
잠수함 사령부 창설
잠수함 사령부 창설

잠수함 사령부 창설 “美 퇴역 순양함, 어뢰 단 1발로 격침” 대박

우리 군이 1일 잠수함사령부 창설로 북한의 위협을 더욱 능동적으로 억제하는 실질적인 능력을 갖추게 됐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다.

바다에서 가장 공격적이고 위협적인 무기체계인 잠수함은 유사시 임무 해역 깊숙이 전개되어 국가 전략목표를 달성하는 임무를 수행하기 때문에 대표적인 전략무기로 꼽히고 있다.

바닷속으로 은밀히 잠행해 불시에 적 지상의 목표물을 원거리에서 탄도미사일과 순항미사일로 타격하는 능력이 있기 때문에 강대국이나 약소국 모두 선호하는 무기체계이다.

해군의 한 관계자는 “잠수함은 은밀하게 적의 턱 앞에서 심장부를 타격하는 전략무기체계”라며 “우리 해군의 잠수함을 효율적으로 지휘·통제하는 잠수함사령부를 갖게 되어 북한의 위협에 더욱 능동적으로 대응할 수 있게 됐다”고 말했다.

그는 “잠수함사령부 창설은 잠수함 전력의 질적, 양적인 향상으로 동·서·남해 수중을 완벽하게 방호하겠다는 의지의 표현이자 이런 의지 실현을 위한 전력을 실제 보여주고 있다는데 의미가 있다”고 강조했다.

우리 해군은 1, 2, 3함대, 제7기동전단, 제6항공전단 등에 이어 잠수함사령부를 창설함으로써 수상, 항공, 수중에 이르는 입체 작전과 합동작전을 효율적으로 진행할 수 있게 됐다는 평가도 나온다.

해군은 1945년 해방병단(海防兵團)이란 이름으로 출범한 지 70년 만인 올해서야 이러한 입체작전 체계를 갖추게 됐다.

잠수함 전력 확보를 위한 해군의 노력은 1984년 소형 잠수정인 돌고래를 도입하면서부터 시작됐다. 이후 1990년 제57잠수함전대(대령 지휘)를 창설했고 1992년 해군 최초의 잠수함인 209급(1200t급) 1번함(장보고함)을 독일에서 들여왔다.

1994년 국내 최초로 대우조선소에서 건조한 잠수함인 이천함을 인수하고 이듬해 57전대를 모체로 제9잠수함전단을 창설했다.

2007년에는 아시아 최초로 AIP(공기불요추진체계)를 탑재한 214급(1800t급) 잠수함 손원일함을 인수했으며 지난해 12월까지 214급 4척을 인수했다.

해군이 확보한 잠수함 전력은 국외 연합훈련에서도 빛을 발했다.

1999년 괌 해상에서 열린 서태평양훈련 당시 이천함이 해상 표적인 미국 퇴역 순양함(오클라호마시티호)을 어뢰 1발로 격침해 미 해군을 놀라게 했다. 2002년에는 나대용함이 하와이 해상에서 열린 림팩훈련 때 처음으로 잠수함용 하푼을 성공적으로 발사하기도 했다.

해군은 23년째 잠수함을 도입해 운영하면서 세계 잠수함 역사상 유례가 없는 무사고 작전운용의 기록을 이어가고 있다.

해군 관계자는 “모든 잠수함 승조원은 ‘100번 잠항하면 100번 부상해야 한다’는 것을 신조로 삼고 있다”고 전했다.

잠수함 승조원에 대한 처우가 열악해 핵심요원인 부사관 지원율이 높지 않은 것은 극복해야 할 과제이다. 부사관 지원율은 2010년 77%에서 2011년 42%, 2012년 35%, 2013년 37%, 2014년 63% 등이다.

우리나라와 같이 잠수함사령부를 창설한 국가는 미국, 일본, 영국, 프랑스, 인도뿐이다.

미국은 태평양잠수함사령부(소장), 대서양잠수함사령부(중장) 등을 운용하고 있으며 전략핵잠수함 58척, 잠수함 14척 등 72척을 보유하고 있다.

일본은 잠수함대(중장) 예하로 2개 잠수대군(소장) 체제이며 핵잠수함은 아직 없으며 재래식잠수함 18척을 운용하고 있다. 프랑스는 잠수함사령관을 중장이 맡고 있고 영국과 인도는 각각 소장이 이끌고 있다.

북한은 동·서해 함대사령부 예하에 잠수함을 운용하고 있으며 현재 70여 척에 이른다.

온라인뉴스부 iseoul@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