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운명적 이끌림… 한국서도 ‘뿌리’ 찾게 될까요”

“운명적 이끌림… 한국서도 ‘뿌리’ 찾게 될까요”

최선을 기자
입력 2015-05-21 23:38
업데이트 2015-05-22 04:1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佛·美 입양 26년 만에 ‘기적의 재회’… 쌍둥이 자매 아나이스·서맨사 방한

“7세 때 부모님이 고국의 의미를 알려주려고 저를 한국에 데려왔었어요. 저는 어려서 ‘뿌리’라는 의미를 이해하지 못했죠. 때로는 다시 한국에 오는 것이 두렵기도 했어요. 하지만 새 인생을 선물해 준 서맨사와 함께여서 다행이고 참 행복합니다.”(아나이스 보르디에·28·여)

“한국은 제가 태어난 곳이지만 처음으로 친가족에게서 버림받은 곳이기도 해요. 그건 전 세계로 입양된 다른 한국인들과 똑같죠. 아나이스와 헤어지기 전 마지막으로 함께 있었던 장소이기도 해요. 그런 한국에서 이젠 우리의 이야기를 함께 나눌 수 있어 무한히 감사드립니다.”(서맨사 푸터먼·28·여)

이미지 확대
아나이스 보르디에(왼쪽), 서맨사 푸터먼 자매가 21일 서울디지털포럼 행사장에서 서로 키를 비교하며 즐거워하고 있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아나이스 보르디에(왼쪽), 서맨사 푸터먼 자매가 21일 서울디지털포럼 행사장에서 서로 키를 비교하며 즐거워하고 있다.
이언탁 기자 utl@seoul.co.kr
“놀라지 마, 우리 쌍둥이인 것 같아!”

어느 날 페이스북에 접속했더니 이런 메시지가 와 있다고 생각해 보자. 이 믿을 수 없는 기적은 유튜브 동영상 하나와 페이스북 쪽지를 통해 이뤄졌다. SBS 주최의 서울디지털포럼 참석차 방한한 푸터먼과 보르디에는 21일 서울신문과의 인터뷰에서 그들의 재회를 ‘운명적 이끌림’이라고 설명했다. 패션 디자인을 공부하던 보르디에가 친구로부터 유튜브 동영상 속 아시아계 배우의 사진을 받은 것도, 전혀 모르는 사람이 보낸 페이스북 쪽지에 푸터먼이 응답한 것도 “그저 무언가에 이끌린 것”이라고 했다. 보르디에는 “지금 생각하면 순진한 생각이었지만 어떻게든 연락하고 싶은 마음에 그냥 컴퓨터 자판의 ‘엔터’를 눌러 메시지를 보내 버렸다”며 웃었다.

쌍둥이 자매는 1987년 부산에서 태어나 3개월여 만에 미국 뉴욕과 프랑스 파리로 각각 입양됐다. 개구쟁이 같은 미소와 밝은 성격, 키와 이목구비까지 똑같은 그들은 누가 봐도 일란성 쌍둥이다. 바비큐와 불고기를 좋아하는 식성과 평소 손톱을 물어뜯는 버릇까지 같았다. 그들은 2013년 영국 런던에서 26년간 존재도 몰랐던 ‘반쪽’을 처음 만났다.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로만 교류하다 처음 만나기로 한 날, 사실 어색하지 않을까 많이 걱정했죠. 하지만 1시간도 안 돼 어색함은 사라지고 마치 평생 알아 온 것 같은 끈끈함을 느꼈어요. 말로는 설명하기 어렵지만 가족이라고 생각해서인지 자유롭게 이야기를 나누며 빠르게 친해졌죠.” 푸터먼은 들뜬 얼굴로 당시를 설명했다.

보르디에는 어렸을 때 종종 자신이 버림받은 것처럼 느껴졌다고 털어놓았다. 오빠 둘과 함께 자란 푸터먼과 달리 보르디에는 형제가 없었다. 이들은 친부모에 대해 복잡한 감정을 가지고 있었다. 2013년에 이어 두 번째로 한국을 방문했지만 아직 친부모와 만나거나 직접 연락하지는 못했다. 보르디에는 “만나게 된다면 심각한 질문보다는 어떤 음식을 좋아하는지, 부모님은 서로 어떻게 만났는지 등을 물어보고 싶다”고 했다. 푸터먼은 “법적으로 입양 기관에서 생모에 대한 모든 정보를 주지는 못하게 돼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이들의 이야기를 담은 다큐멘터리 영화 ‘트윈스터스’는 국내 영화제 출품을 앞두고 있고, 최근 ‘어나더 미’라는 제목의 책도 국내에 출간됐다. 푸터먼은 지난해 킨드러드 입양재단을 설립해 입양인과 그들 가족의 만남을 주선하는 활동을 하고 있다. 그는 “우리처럼 해외로 입양된 경우 ‘뿌리 찾기’에 나선다면 어떤 상황이 벌어지더라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라고 조언하고 싶다”고 했다. 이어 “동화처럼 행복한 결말이 나올 수도 있겠지만 어려움을 겪을 수도 있다”면서 “입양아이긴 하지만 많은 사람들로부터 사랑받고 있다는 점을 잊지 말았으면 한다”고 강조했다.

최선을 기자 csunell@seoul.co.kr
2015-05-22 8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