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日 ‘후라리만’ “칼퇴근해도 집에 안 가요”

日 ‘후라리만’ “칼퇴근해도 집에 안 가요”

김민희 기자
입력 2017-09-27 23:50
업데이트 2017-09-28 02: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본 도쿄의 물류회사에서 일하는 결혼 2년차 하세가와 쓰요시(36). 일본 정부가 역점을 두고 있는 ‘일하는 방식 개혁’으로 인해 오후 10시였던 퇴근시간이 1년 전부터 오후 6시로 대폭 당겨졌다. 맞벌이를 하는 아내가 저녁밥을 해놓고 기다리지만 그는 퇴근하고 곧장 집에 가지 않는다. 공원에서 책을 읽거나 카페에서 커피를 마시며 스마트폰을 만지작거린다. 매일 집 근처 야구연습장에서 300엔(약 3000원)을 주고 스윙 연습을 하는 게 제일 큰 낙이다. 그는 퇴근 후 두 시간이 지나서야 귀가한다.
퇴근 뒤 양복 차림으로 게임장에 앉아 있는 일본 도쿄의 직장인들. NHK 캡처
퇴근 뒤 양복 차림으로 게임장에 앉아 있는 일본 도쿄의 직장인들.
NHK 캡처
●30% 여유 활용할 줄 몰라 방황

일본에서 퇴근 후 곧바로 집에 가지 않는 남성들이 늘고 있다. NHK는 지난 19일 아침 프로그램 ‘오하요 닛폰’을 통해 이런 남성들을 ‘후라리만’이라고 명명했다. ‘후라리만’은 ‘비틀비틀하다’라는 단어에 직장인을 뜻하는 ‘샐러리맨’을 붙인 단어로, 메지로대 명예교수이자 사회심리학자인 시부야 쇼조가 2007년 저서에서 처음 사용했다. 당시는 일본의 베이비부머인 단카이세대가 일제히 정년퇴직을 맞은 시기로, 그동안 일에 치여 가정을 뒤돌아보지 않았던 남성들이 집에서 갈 곳을 잃고 비틀비틀대던 모습을 빗대 만든 말이다. 그러나 최근에는 줄어든 노동시간 대신 생긴 여유를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몰라 곧바로 집에 들어가지 않고 전자제품점, 게임장 등 이곳저곳을 기웃대는 직장인을 일컫는 말로 바뀌었다.

●“남성상의 변화로 괴리감 느껴”

‘후라리만’이 생긴 원인은 무엇일까. NHK는 ‘일하는 방식 개혁’으로 퇴근이 빨라진 직장인들이 여유시간을 어떻게 활용해야 할지 몰라 우왕좌왕하기 때문이라고 지적한다. 취재팀이 도쿄의 직장인 100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최근 퇴근시간이 빨라졌다고 답한 사람은 100명 중 절반인 50명이었다. 이 중 ‘일이 빨리 끝나도 집에 들어가지 않고 딴 곳으로 빠진다’고 대답한 사람은 28명으로, 전체의 약 30%에 달했다. ‘일하는 방식 개혁’이란 아베 정권이 지난해부터 추진해 온 사업으로, 장시간 노동을 개선하고 재택근무를 장려하는 등 워크 라이프 밸런스를 중시하는 일련의 정책을 말한다.

●“책임감 없어” “혼자의 시간 필요”

‘후라리만’을 두고 일본 누리꾼 사이에서는 비판과 공감의 목소리가 교차했다. ‘책임감이 없다’, ‘전업주부도 곁길로 빠지고 싶다’ 등 비난의 목소리가 높았다. 한편으로 ‘혼자서 리셋하는 시간도 반드시 필요하다’, ‘곧바로 집에 가고 싶지 않은 마음을 잘 안다’ 등등 공감하는 의견도 있었다.

시부야 교수는 NHK에 “남성들이 가정에서의 역할을 찾으려 해도 맞벌이의 증가에 따라 (가정과 직장 양쪽에서) 존재감을 늘리는 여성에게 상대할 수 없어 ‘후라리만’이 된다”면서 “‘억척스럽게 일하는 것이 미덕’이었던 지금까지의 남성상과 (워크 라이프 밸런스를 중시하는) 새로운 남성상 간의 괴리가 직장인들을 방황하게 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김민희 기자 haru@seoul.co.kr
2017-09-28 16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