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시의 자리가 가장 먼저, 그곳서 사람의 자리를 돌보다

시의 자리가 가장 먼저, 그곳서 사람의 자리를 돌보다

정서린 기자
정서린 기자
입력 2017-09-29 17:30
업데이트 2017-09-30 01:1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다섯번째 시집 ‘바다는 잘 있습니다’ 펴낸 이병률 시인

도처를 떠돌지만 그에겐 시의 자리가 가장 먼저다. 그 자리에서 살피고 돌보는 것은 늘 사람의 자리다. 여행 에세이 세 권으로 밀리언셀러 작가가 된 것도 사람의 마음 안팎을 들여다볼 줄 아는 마음씀과 감각 때문일 터다. 라디오 방송 작가, 여행 에세이스트, 시인이라는, 대중과 곁을 같이하는 업에 도통한 듯한 이병률 시인(50)이다. “시가 내 본능이고 본질”이라는 그가 다섯 번째 시집 ‘바다는 잘 있습니다’(문학과지성사)로 다시 사람을 파고든다.
이병률 시인
이병률 시인
시집을 이루는 60편의 목차를 들여다보면 1995년 등단 이후 지금까지 그의 시를 관통하는 가치가 선명해진다. ‘사람’, ‘사람의 자리’, ‘사람의 재료’, ‘사람이 온다’ 등의 제목에서 사람을 사랑하고 앓고 ‘심장을 다독이고 다독여서’ 꺼낸 시편들임이 감지된다. 시인은 스쳐 지나는 노인의 혼잣말까지 허투루 듣지 않고 마음의 서랍에서 꺼내놓는다.

‘내가 순수하게 했는데/나한테 이러믄 안 되지//나는 마음의 2층에다 그 소리를 들인다/어제도 그제도 그런 소리들을 모아 놓느라/나의 2층은 무겁다//내 옆을 흘러가는 사람의 귀한 말들을 모으되/마음의 1층에 흘러들지 않게 하는 일//그 마음의 1층과 2층을 합쳐/나 어떻게든 사람이 되려는 것/사람의 집을 지으려는 것(중략)//지금은 다만 내 마음의 1층과 2층을 더디게 터서/언제쯤 나는 귀한 사람이 되려는지 지켜보자는 것’(지구 서랍)
“뻔할지 모르지만 첫 시집부터 줄곧 지금까지 제 시를 꿰어온 주제는 사람이에요. 주변에서 들리는 소리가 제게 파고들 땐 거기서 저와 비슷한 표정이 있기 때문이죠. 제 시에서 전개되는 사람에게 위로도 얻고 사랑의 감정도 느끼고 상처도 받는 과정, 그건 우리가 참된 인간으로 나아가고 있는 과정일 거예요.”

결국 사람에 대한 믿음으로 나아가는 시에 대해 김소연 시인은 이렇게 포착한다. “그의 시는 대단한 결기로 포장되어 있지도 않고 냉소나 환멸로 손쉽게 치환되고 있지도 않다. 낙담의 자리에서 지탱하려고 힘을 모으는, 은은하고도 든든한 모습으로 그는 서 있다.” 가령, 이런 시에서 고개를 주억거리게 된다.

‘우리는 저마다/자기 힘으로는 닫지 못하는 문이 하나씩 있는데/마침내 그 문을 담아줄 사람이 오고 있는 것이다’(사람이 온다)

‘우리가 살아 있는 세계는/우리가 살아가야 할 세계와 다를 테니/그때는 사랑이 많은 사람이 되어 만나자(이 넉넉한 쓸쓸함)

시인의 다음 시집도 ‘사람과의 눈맞춤’이다. 여행이 곧 삶인 시인은 지난해 가을 중국 상하이대 안의 한 식당에서 주방 식구들과 어울려 일도 돕고 함께 놀고 먹었던 시간을 담은 에세이를 이메일로 보내왔다.

“글 쓰는 사람이라 많은 걸 보고 싶고 음식 냄새 나는 주방에서 모든 감각을 열어보고 싶어 무작정 가서 ‘음식도 배우고 일 좀 하겠습니다’라고 했어요. 야채도 썰고 라면도 끓여주고 계란 오십 개를 깨기도 하면서요. 많이 얻어먹고, 많이 나눠 먹고 많이 고단한 순간들을 지내니 헤어지기가 아프더군요. 그때 서로 주고받았던 눈빛과 감정, 이야기들로 다음 시집을 낼 계획입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17-09-30 19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