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서동욱의 파피루스] 12월의 꽃 크리스마스

[서동욱의 파피루스] 12월의 꽃 크리스마스

입력 2017-12-08 17:52
업데이트 2017-12-08 18:0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서동욱 서강대 철학과 교수
서동욱 서강대 철학과 교수
12월은 크리스마스의 달이다. 어두운 핼러윈이 지나면 환한 크리스마스가 나타난다. 세시풍속의 리듬에 몸을 싣고 사는 인류가 한 해의 하반기를 어둠에서 가장 환한 빛으로 나가는 과정으로 연출하면서 생긴 핼러윈과 크리스마스 사이의 극적 긴장감은 양자를 뒤섞고 있는 예술 속에도 투영돼 있다. 핼러윈에나 걸맞은 유령들이 밤새 출몰한 후 스크루지가 환한 크리스마스 아침을 맞는 디킨스의 작품, 크리스마스에 핼러윈적인 인물들을 중첩시킨 팀 버튼의 영화 등등.

기독교인이건 아니건 많은 이들이 크리스마스를 좋아한다. 어린이들이 더욱 그런데, 특히 크리스마스 선물 때문이리라. 사실 누구나 선물을 좋아함에도 선물을 받을 수 있는 이는 없다. 왜냐하면 주는 이나 받는 이가 선물을 선물로 인지하는 순간 그것은 부담스러운 빚이 되는 까닭이다. 그래서 대개 선물을 받는 순간은 다시 선물을 보내 주려는 준비의 출발점이 된다. 결국 가질 수 있는 선물이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 이것이 선물의 역설이다. 이런 역설에서 예외적으로 무한히 받는 즐거움을 주는 것은 어린이들의 크리스마스 선물이 아닐까? 그러니 인생에서 다시 해볼 수 없는 그 체험을 채워 주려고 어른들은 노력해야 한다.

크리스마스란 도대체 무엇일까. 아주 단순하게, 전승되는 이야기를 전달하자면 신이 사람으로 태어난 날이다. 크리스마스, 즉 신이 사람이 된 사건은 이해하기 어려운 심오한 논제이기도 하지만 기독교만의 것은 아니며 훨씬 오랜 역사를 지닌다. 이 점과 관련해 철학자 레비나스는 예수 그리스도를 다룬 글에서 이렇게 쓰기도 한다. “인간이 된 신의 모습은 인간들의 정열과 기쁨을 공유한다. 이는 확실히 이교도들의 시(그리스 문학)가 이미 보여 주었던바 진부한 사실이다.” 반신반인의 이야기는 그리스 문학, 아니 거의 모든 고대 이야기에 넘쳐난다. 이런 의미에서라면 레비나스가 이야기하듯 신이 인간으로 탄생하는 이야기는 진부하다.

그러나 그 이야기가 감추고 있는 진실의 보석은 결코 진부하다고 말할 수 없을 것이다. 물론 신의 속성과 인간의 속성이 하나의 진짜 존재 안에서 어떻게 결합되는지와 같은 존재론적인 문제를 우리는 다룰 수 없다. 토마스 만의 소설 ‘마의 산’에 등장하는 인물인 세템브리니는 무신론 친화적인 유럽 계몽주의를 대표하는 인물인데, 크리스마스를 맞아 존재하는 신으로서가 아니라 ‘인류의 선생’으로서 그리스도에 대해 성찰한다. 그것은 곤란한 신학적 문제와 종교 자체를 넘어서 그리스도에 대해 말하는 좋은 방식이었다.

신이 인간이 됐다는 것은 인간들이 삶을 즐기는 방식이자 그들의 단점, 한마디로 정념(情念)을 갖게 됐다는 뜻이다. 그리스 신들의 애욕, 성적 방종, 질투, 분노 등은 인간의 모습을 지닌 신이란 바로 인간의 정념을 가지게 된 자 외에 다른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려 준다.

크리스마스를 통해 인간이 된 신 역시 인간적인 정념을 가지는데, 그의 정념에는 독특한 데가 있다. 바로 ‘수난의 고통’이 그의 정념인 것이다. 매 맞고 십자가에 못 박힌 사건 없이 그리스도를 생각할 수 없다는 것은 ‘수난의 고통’이 바로 이 인물을 가장 대표하는 정념이라는 것을 알려 준다. 한마디로 그리스도의 제일가는 특징이란 ‘상처받는 자’라는 것이다. 대개 우리는 상처받는 일을 두려워하며 피하려 하지만, 사실 그것은 얼마나 중요한가. 상처받을 수 있다는 것은 마음이 움직일 수 있다는 뜻이다. 불평등과 억울함 속에서 고통받는 이웃에 대해 마음이 상처받을 수 없다면 어떻게 인간은 타인을 위한 가치 있는 행위를 시작할 수 있겠는가.

고대 그리스 이래 능동성과 자유가 지고의 가치라는 점은 의심의 여지가 없다. 그러나 우리는 자유와 능동성 가지고만은 고통받는 이웃의 상처를 느끼고 그들을 위한 행위를 시작할 수 없다. 왜냐하면 타인에 대한 마음의 움직임이란 자기 삶의 계획을 짜듯 자유로운 결정 속에서 시작되는 것이 아니라 마음을 찌르는 괴로움으로부터 최초의 발화점을 얻는 까닭이다. 다른 이의 고통 때문에 원치 않더라도 내 마음이 고통받는 일. 상처받음이라는 정념에 휩싸이는 일. 이 수난받는 사건이 얼마나 중요한지를 신은 인간이 됨으로써 가르쳐 주었다. 그래서 크리스마스는 가장 환한 날이다.
2017-12-09 22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