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유엔 대북제재 주도’ 헤일리 퇴장…WP “폼페이오·볼턴에 밀려”

‘유엔 대북제재 주도’ 헤일리 퇴장…WP “폼페이오·볼턴에 밀려”

신성은 기자
입력 2018-10-10 10:25
업데이트 2018-10-10 10:2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리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대사 EPA 연합뉴스
리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대사
EPA 연합뉴스
도널드 트럼프 미 행정부에서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를 주도한 니키 헤일리 유엔주재 미국 대사가 9일(현시간) 연내 사임을 공식화했다.

약 2년간 유엔 대사직을 수행하고 자진해서 퇴로를 선택한 모양새를 취하기는 했지만, 북미 비핵화 협상이 본궤도에 오른 시점과도 맞물린 것이어서 주목된다.

유엔 안전보장이사회의 현행 ‘대북 제재망’은 헤일리 대사가 사실상 밑그림을 그렸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헤일리 대사는 지난해 북한의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발사시험과 제6차 핵실험이 잇따르는 상황에서 트럼프 행정부의 ‘최대의 압박’(Maximum Pressure) 정책을 최전선에서 이끌었다.

헤일리 대사는 지난해 1월 취임한 이후 4차례의 안보리 대북결의안을 처리했다.

지난해 9월 북한의 6차 핵실험에 대응한 제재결의 2375호를 통해 ‘유류 제재’의 길을 텄다면, 연말에는 북한의 ICBM급 ‘화성-15형’ 발사에 맞서 원유 공급량을 동결하고 정유 공급량을 대폭 제한하는 제재결의 2397호를 통과시켰다.

대북 압박에 난색을 보이는 중국과 러시아와의 조율 과정에서 제재 수위가 낮아지기는 했지만, ‘정권의 생명줄’로 꼽히는 유류 공급까지 제한함으로써 북한을 협상 테이블로 끌고 나왔다는 게 트럼프 행정부의 입장이다.

특히 헤일리 대사는 6차 핵실험 직후 소집된 안보리 회의에서 “북한 김정은이 전쟁을 구걸하고 있다”고 발언해 북한을 자극한 것으로도 유명하다.

당시 조선중앙통신은 “헤일리의 악담질은 우리에게 전쟁 도발자 감투를 씌워 새로운 고강도 제재결의 채택을 무난히 치러 보려는 흉심의 발로”라며 헤일리 대사를 ‘돌격대’로 표현하기도 했다.

헤일리 대사의 사임이 대북제재의 변화로 이어질지 관심이지만 ‘유엔대사 교체’만으로 트럼프 행정부의 기조가 바뀔 것으로 점치는 것은 무리라는 분석도 나온다.

대북 협상모드가 본격화하는 국면에서도 트럼프 행정부는 현재까지 ‘선(先) 비핵화, 후(後) 제재 완화’ 원칙을 고수하고 있기 때문이다.

북미 우호적 기류가 한층 뚜렷해진 지난달 유엔총회에서 트럼프 대통령과 마이크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각각 국가정상급 및 장관급 안보리를 소집해 대북제재 대오를 다잡은 것은 상징적인 장면이다.

북한의 실질적인 비핵화 조치를 확인하기 전까지는 제재 완화가 어렵다는 입장을 재확인한 것이다.

주요 인선에서 갈수록 ‘보수강경’ 성향이 짙어지고 있는 트럼프 대통령이 어떤 후임을 지명할지도 변수다.

헤일리 대사의 사임은 그의 정치적 입지와 맞물린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지난해 대북제재를 강화하는 흐름에서는 언론의 스포트라이트를 한몸에 받았고 당시 렉스 틸러슨 국무장관보다도 트럼프 대통령의 의중을 꿰뚫는 복심으로 불렸다.

‘초강경 매파’ 존 볼턴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보좌관이 등장하자 ‘볼턴-폼페이오-헤일리’ 신(新) 3인방으로 꼽히기도 했다.

올해 들어 상황은 확연히 달라졌다. 언론접촉을 극히 꺼렸던 틸러슨 장관의 후임으로 폼페이오 장관이 전면에 등장하고, 볼턴 보좌관이 초강경 보수 진영을 대변하면서 헤일리 대사의 입지가 좁아졌다.

일간 워싱턴포스트(WP)는 “폼페이오 장관이 각종 외교이슈를 주도하면서 헤일리 대사의 역할은 확연히 줄었다”면서 “여기에 강경보수의 볼턴 보좌관까지 등장하면서 헤일리 대사는 핵심 정책논쟁에서 사라졌다”고 전했다.

대북 이슈에서도 지난 3~4월부터 협상 국면이 본격화하면서 자연스럽게 ‘안보리 좌장’격인 유엔주재 미국 대사보다는 ‘북미협상 실무총책’인 폼페이오 장관에게 무게가 쏠린 게 현실이다.

헤일리 대사가 이날 기자들에게 “당국자가 물러나야 할 때를 아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고 언급한 것도 비슷한 맥락으로 읽힌다.

헤일리 대사가 트럼프 대통령에게 사의를 표명한 시점도 이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트럼프 대통령은 기자들에게 “6개월여 전에 헤일리 대사가 ‘휴식 시간을 갖고 싶다’며 사임 의사를 밝혔고 수용하기로 했다”고 말했다.

특히 헤일리 대사는 트럼프 행정부의 난맥상을 폭로하는 ‘익명의 고위 관리’가 쓴 뉴욕타임스(NYT) 칼럼 파문 이후 처음으로 물러나는 고위직 인사라는 점에서도 주목된다.

실제로 헤일리 대사는 당시 칼럼 기고자일 가능성이 있는 유력 후보 중 하나로 이름이 오르내렸다고 워싱턴포스트(WP)는 전했다. 다만 헤일리 대사는 익명 칼럼의 저자를 비난하는 글을 올려 이런 의혹을 부인한 바 있다.

WP는 또 사임 소식이 시민단체 ‘워싱턴의 책임과 윤리를 위한 시민들’(CREW)이 헤일리 대사가 정부 돈으로 개인 여행을 했다는 의혹을 제기한 지 하루 만에 나왔다는 점을 지적하기도 했다.

헤일리 대사가 다른 고위직 출마를 위해 유엔대사를 그만뒀다는 추측도 나오고 있다.

로이터 통신은 여성 유권자들의 외면으로 고전하는 공화당에서 헤일리 대사가 상원의원이나 부통령, 심지어 대통령 후보로 뛸 가능성을 제기했다.

로이터에 따르면 워싱턴 정가에서는 트럼프 대통령이 11월 중간선거 후 제프 세션스 법무장관을 린지 그레이엄(공화·사우스캐롤라이나) 상원의원으로 교체하고, 헨리 맥매스터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가 2020년 선거 전까지 그레이엄 의원의 남은 임기를 채울 후임자로 헤일리 대사를 지명할 수 있다는 말이 나온다.

맥매스터 지사는 헤일리 대사가 사우스캐롤라이나 주지사를 지낼 때 바로 밑에서 부지사를 역임한 적이 있다.

아울러 트럼프 대통령이 2020년 재선 도전 때 마이크 펜스 현 부통령 대신 헤일리 대사를 부통령 후보로 내세울 수 있다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본인의 강력한 부인에도 대선 출마설 역시 가라앉지 않고 있다. 헤일리 대사는 2020년 대선에서 트럼프 대통령의 잠재적인 당내 경쟁자로 여겨져왔다.

미 찰스턴칼리지 정치학 교수인 조던 라구사는 로이터에 “헤일리가 대선 출마에 앞서 자신과 트럼프 사이에 틈을 벌리기를 원한다는 것이 가장 그럴듯한 설명”이라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