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자유인이 사는 땅 카자흐스탄 속으로

자유인이 사는 땅 카자흐스탄 속으로

조희선 기자
조희선 기자
입력 2018-11-26 17:52
업데이트 2018-11-27 01:3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립중앙박물관 특별전… 450점 유물 전시

이미지 확대
‘황금 인간’
‘황금 인간’
카자흐스탄은 튀르크어로 자유인 또는 변방의 사람을 가리키는 ‘카자흐’와 땅을 의미하는 ‘스탄’이 합쳐진 말이다. ‘자유인(또는 변방인)이 사는 땅’이란 뜻이다. 드넓은 초원의 중심에서 변방인들이 이룩한 화려한 문명을 엿볼 수 있는 전시가 마련된다. 국립중앙박물관이 카자흐스탄문화체육부·카자흐스탄국립박물관과 함께 준비한 특별전 ‘황금인간의 땅, 카자흐스탄’이다. 27일 개막하는 이 전시에서는 선사시대부터 근현대에 이르기까지 카자흐스탄의 역사와 문화를 대표하는 450여점의 유물을 만날 수 있다.

배기동 국립중앙박물관장은 26일 상설전시관 특별전시실에서 열린 간담회에서 “남한의 약 30배 면적의 카자흐스탄은 동서양 문명이 뒤섞인 곳으로 특히 황금 문화가 발달했다”면서 “신라도 황금의 나라라고 알려져 있듯 이번 전시를 통해 양국 문화의 연결 고리와 우리 문화의 원류를 인식하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

전시 초입에는 뜻밖에 ‘경주 계림로 보검’(보물 제635호)이 전시돼 있다. 장식이나 형태가 카자흐스탄 유물과 유사해 일찍이 학계에서 관심을 모은 유물이다. 1973년 경북 경주 계림로 14호분에서 출토된 길이 36㎝의 이 칼은 양날이 있는 검(劍)으로, 신라 고분에서 출토되는 한쪽 날만 있는 도(刀)와는 형태가 다르다. 카자흐스탄 보로보예 출토 보검을 비롯해 악티스티 고분군, 카나타스 고분군, 레베카 고분군에서 출토된 금제품의 세공 기술과 유사한 점이 많다. 중앙유라시아에서 신라로 전해진 이 칼이 카자흐스탄의 대초원 문명과 어떤 관계가 있는지 이번 전시를 통해 살핀다. 1부 ‘대초원 문명, 황금으로 빛나다’에서 가장 주목할 만한 유물은 카자흐스탄의 대표적인 고분 유적지인 이시크 쿠르간에서 여러 부장품과 함께 출토된 ‘황금 인간’이다. 1969년 발견된 이 유물은 끝이 뾰족한 모자와 화려한 황금 장식으로 치장한 붉은 옷을 입은 남성으로, 현재 카자흐스탄 국가를 상징한다. 강건우 학예연구사는 “황금 인간은 나이는 15~18세, 키는 약 168㎝로 추정되며 통치자나 전사였을 것으로 추정된다”고 설명했다.

2부 ‘초원, 열린 공간’으로 시선을 옮기면 동서양 문화의 교차로이자 다양한 민족의 역사가 어린 대초원에 얽힌 유물을 만날 수 있다. 옛 사람들의 종교 관념이 반영된 ‘동물 머리 장식 제단’, ‘세발 달린 솥’, ‘튀르크인 조각상’ 등이 눈길을 끈다. 마지막 3부 ‘유목하는 인간, 노마드’는 카자흐스탄 민속품과 공예품에 초점을 맞췄다. 유목민들의 이동식 숙소인 유르트와 내부를 장식한 화려한 카펫, 담요, 아기 침대, 옷 보관함, 악기 등을 볼 수 있다. 전시는 내년 2월 24일까지다.

조희선 기자 hsncho@seoul.co.kr

2018-11-27 24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