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죽을 수 없다” 첫 파업 예고한 집배원들

“죽을 수 없다” 첫 파업 예고한 집배원들

기민도 기자
입력 2019-06-25 22:28
업데이트 2019-06-26 01:1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전국우정노조, 93%로 파업 찬성 가결

새달 1일 쟁의 조정 실패 땐 9일 파업

노조 “2014년 이후 과로사 집배원 24명
교육공무원 대비 질병 위험 최대 3배↑”
“증원 사회적 합의 최소한 약속 지켜야”
이미지 확대
25일 전국우정노동조합이 서울 여의도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사무실에서 우정노조 총파업 찬반투표 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92.87% 찬성으로 파업이 가결됐다고 밝히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25일 전국우정노동조합이 서울 여의도 한국노동조합총연맹 사무실에서 우정노조 총파업 찬반투표 결과 발표 기자회견을 열고 92.87% 찬성으로 파업이 가결됐다고 밝히고 있다.
정연호 기자 tpgod@seoul.co.kr
“우리 쓰러지더라도 사람 많은 곳에서 쓰러지자.”

경기 고양일산우체국에서 일하는 10년차 집배원 오현암(37)씨가 매일 오전 배달에 나서기 전 동료와 나누는 말이다. 최근 집배원들이 집에 홀로 있다가 심장마비 등으로 사망한 사실을 전해 듣고 과로사할 수 있다는 불안감이 더 커졌다. “밤에 잠드는 게 무섭다”는 말도 나온다. 오씨는 “점심시간에 억지로라도 쉬려고 지난 4월부터 (회사) 동생들을 불러 점심을 같이 먹는다”면서 “하지만 오늘도 5명 중 3명이 시간이 없어서 밥을 못 먹었다”고 전했다.

오씨처럼 과로사를 걱정하는 집배원들이 인력 증원을 요구하며 파업을 결정했다. 전국우정노동조합은 25일 여의도 한국노총 대회의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쟁의행위 찬반투표에서 92.9%의 압도적인 찬성으로 파업이 가결됐다”고 밝혔다. 투표에는 조합원 2만 8802명 가운데 2만 7184명이 참여했다. 노조는 다음달 1일 종료되는 쟁의조정에서 사측과 합의하지 못하면 같은달 9일 사상 첫 파업에 돌입할 계획이다.
이미지 확대
노조·우정본부·정부·전문가가 참여한 ‘집배원 노동조건 개선 기획추진단’이 지난해 10월 발표한 집배원들의 연간 노동시간(2017년 기준)은 2745시간이다. 국내 임금노동자 연평균 노동시간(2052시간)과 비교하면 1년에 87일(하루 8시간 근무 기준)을 더 일하는 셈이다. 당시 기획추진단은 2019년과 2020년 각각 집배원 1000명씩 증원하라고 권고했다. 현재 노조의 주장과 같다. 하지만 우정본부 측은 예산 등을 이유로 답을 내지 못했다.

우편사업은 특례업종(법정근로시간 준수의 예외를 인정받은 업종)에서 제외되면서 다음달부터 주52시간 근로제 적용을 받는다. 우정본부도 주52시간제를 강조하며 노동시간을 단축하고 있지만, 노동자들은 “증원 없는 노동시간 단축이 고강도 노동과 추가 임금 없는 ‘무료 노동’, 죽음으로까지 이어진다”며 반발한다. 이날 오씨가 배달해야 할 등기는 81개, 택배 98개, 일반우편은 약 1000개였다. 오씨는 “1인 가구가 늘어 들러야 할 세대 수가 많아졌다”면서 “택배처럼 고객을 직접 만나 전달해야 할 물량도 많다”고 말했다. 오전 8시 전에 출근해 우편물을 분류하고 오전 9시쯤부터 정신없이 배달한 후 오후 5시에 우체국으로 돌아와 다시 분류를 하면 오후 7시 전에는 일을 끝내기 어렵다.

전국집배노조에 따르면 2014년부터 2019년 6월까지 과로사한 것으로 추정되는 집배원은 24명이다. 올해에만 5명이 숨졌다. 기획추진단에 따르면 우편 종사자들이 교육직 공무원보다 고혈압질환(1.75배), 뇌혈관 질환(1.23배), 동맥색전증 및 혈전증(2.95배), 고혈압성 심장병(2.36배)으로 입원할 위험성이 더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노광표 한국노동사회연구소장은 “노사정 전문가들이 1000명을 증원한다는 사회적 합의를 1년 전에 했다”며 “최소한 단계적으로 어떻게 하겠다는 계획을 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기민도 기자 key5088@seoul.co.kr
2019-06-26 10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