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통계로 들여다 본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경찰에 의한 피살 사례

통계로 들여다 본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경찰에 의한 피살 사례

이기철 기자
이기철 기자
입력 2020-06-04 16:23
업데이트 2020-06-05 10:3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비무장 흑인에 대한 백인 경찰의 강압적 체포로 사망한 사건에 대한 분노 시위가 이어진 3일(현지시간)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에서 경찰과 시위대가 격렬하게 충돌하고 있다. 뉴올리언스 AP 연합뉴스
비무장 흑인에 대한 백인 경찰의 강압적 체포로 사망한 사건에 대한 분노 시위가 이어진 3일(현지시간) 미국 루이지애나주 뉴올리언스에서 경찰과 시위대가 격렬하게 충돌하고 있다. 뉴올리언스 AP 연합뉴스
비무장 아프리카계 미국인 조지 플루이드에 대한 경찰의 폭력적 체포 과정에서 사망한 사건에 대한 분노가 커지면서 이들에 대한 인종차별 실태에 관심이 집중된다. 아프리카계에 대한 미국 경찰의 인종 차별이 얼마나 뿌리 깊은지를 미국 유력 일간지 워싱턴포스트(WP)와 월스트리트저널(WSJ) 등이 짚었다.

지난해 미국에서 발생한 경찰에 의한 사망자는 1004명으로, 이 가운데 약 4분의 1인 235명이 아프리카계 미국인이라고 WSJ과 WP가 2일(현지시간) 보도했다. 미국 인구 3억 2820만명 가운데 아프리카계 미국인이 13%를 차지한다. 인구 비율로 봐도 경찰에 희생된 아프리카게 미국인의 사망률이 훨씬 높다.
2019년 미국 경찰에 의한 총격 사망자 수. 워싱턴포스트
2019년 미국 경찰에 의한 총격 사망자 수. 워싱턴포스트
경찰이 아프리카계 미국인을 의도적으로 차별할까. WP에 따르면 지난해 경찰 총격에 사망한 비무장 흑인이 9명이었던 반면 비무장 백인은 19명이 희생됐다. 2015년에는 경찰에 의해 흑인은 38명, 백인은 32명이 희생됐다. WP는 2014년 미주리주 퍼거슨에서 흑인 청년에 대한 경찰의 피살 사건 발생 이후인 2015년부터 언론보도와 경찰 보고서 등을 종합해 경찰에 의한 희생자 수치를 집계하고 있다.

범죄와 관련해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불편한 통계도 보인다. 미국 도시 문제를 연구하고 정책을 개발하는 보수적 싱크탱크인 맨해튼연구소 맥 도널드 연구원은 WSJ에 미국에서 발생한 살인 사건 가해자의 53%, 강도 가해자의 60%가 아프리카계 미국인이라고 주장했다. 미네소타주 미니애폴리스에서 흑인 사망사건이 발생하기 이전인 지난달 퓨리서치 센터가 발간한 자료에 따르면 미국에서 18세 이상 성인 10만명당 흑인 수감자는 2018년 1501명으로, 2006년의 2261명에서 크게 줄었다. 같은 기간 백인은 324명에서 268명으로 감소 폭이 흑인 만큼 크지 않았다. 그러나 인구 비율을 감안한 2018년 흑인 수감자가 백인보다 5배 이상된다.
미국 성인 10만명당 수감자 수. 퓨리서치센터.
미국 성인 10만명당 수감자 수. 퓨리서치센터.
흑인 상당수는 여전히 빈곤선에 있는 것으로 미국 정부는 파악하고 있다. 미국 인구통계국(USBC)이 집계하는 빈곤선은 2018년 3인 가족 기준 2만 212달러이다. 당시 미국 가구당 중간 소득은 7만 87646달러였다. 이를 토대로 카이저패밀리재단(KFF)이 분석한 바에 따르면 흑인 가구의 빈곤 비율은 22%로, 미국인 평균인 13%보다 높다. 전미유색인지위향상협회(NCAPP)에 따르면 범죄 경력이 없는 흑인 남성이 취업을 하기 위해 면접을 보기는 전과 경력의 백인 남성보다 어렵다고 한다. 이번 사건의 직접적 도화선이 된 조지 플로이드는 20달러짜리 위조지폐를 한 매장에서 사용하려다 신고를 받고 출동한 경찰에 체포되는 과정에서 발생한 사건임을 통해 아프리카계 미국인의 빈곤 상황을 짐작할 수 있다. 이번 전국적 분노 시위의 배경에는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의 백인우월주의 시각과 인종 차별적인 발언뿐만 아니라 사회구조적 차별에서 오는 빈곤 등이 얽힌 문제임을 보여준다.

이기철 선임기자 chuli@seoul.co.kr



많이 본 뉴스

의료공백 해법, 지금 선택은?
심각한 의료공백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의대 증원을 강행하는 정부와 정책 백지화를 요구하는 의료계가 ‘강대강’으로 맞서고 있습니다. 현 시점에서 가장 먼저 필요한 것은 무엇일까요?
사회적 협의체를 만들어 대화를 시작한다
의대 정원 증원을 유예하고 대화한다
정부가 전공의 처벌 절차부터 중단한다
의료계가 사직을 유예하고 대화에 나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