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부동산 민심 들끓자 ‘문책성 경질’… 노영민, 후임 못 찾아 일단 유임

부동산 민심 들끓자 ‘문책성 경질’… 노영민, 후임 못 찾아 일단 유임

임일영 기자
임일영 기자
입력 2020-08-10 17:48
업데이트 2020-08-10 17: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무·민정·시민사회’ 3수석 先교체 배경

이미지 확대
사의를 표명한 김외숙(왼쪽) 청와대 인사수석과 강기정 정무수석이 10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 참석해 회의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사의를 표명한 김외숙(왼쪽) 청와대 인사수석과 강기정 정무수석이 10일 청와대 여민관에서 열린 수석·보좌관회의에 참석해 회의 시작을 기다리고 있다.
도준석 기자 pado@seoul.co.kr
문재인 대통령이 10일 정무·민정·시민사회수석 인사를 단행하면서 문재인 정부 청와대 3기 체제 전환이 본격화됐다. 오는 29일 더불어민주당 전당대회와 8월 말~9월 초로 예상되는 부분 개각까지 끝나면 당정청 개편이 일단락될 것으로 보인다. 지난 7일 수석비서관 5명과 일괄사의를 표명했던 노영민 대통령 비서실장은 자리를 지켰지만, ‘재신임’이 아닌 ‘조건부 유임’의 모양새다.

문 대통령이 3명의 고위 참모를 우선 교체한 것은 들끓는 ‘부동산 민심’에 청와대가 다주택 참모 논란으로 기름을 끼얹은 상황에 이르게 한 정무적 책임을 물은 것으로 해석된다.

서울 강남에만 두 채를 보유한 김조원 민정수석은 시세보다 2억원가량 비싸게 잠실 아파트를 내놓아 논란을 키웠다. 김 수석은 전날 출근하지 않은 데 이어 이날 수석보좌관회의에도 불참해 ‘뒤끝’을 보였다. 강기정 정무수석과 김거성 시민사회수석이 춘추관에서 이임 인사를 한 것과는 나가는 순간까지 사뭇 대조적인 모습이었다.

문 대통령이 수보회의에서 “더욱 겸손하게 자세를 가다듬고 부족한 부분을 되돌아보면서 무한책임의 자세로 국정에 임하겠다”고 밝힌 것도 이번 인사가 사실상 ‘문책성’임을 시사한 것으로 풀이된다.

지금껏 국면전환용 인사를 꺼렸던 문 대통령이지만, 느닷없는 참모진의 일괄 사의 표명으로 불가피하게 인사를 하지 않을 수 없는 상황이었다. 일괄 반려는 선택지에 없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노무현 정부 시절 두 차례 일괄 사표가 있었고, 당시 시민사회수석·민정수석이었던 문 대통령도 동참했다. 일괄 사의 표명의 파장과 수락에 담긴 의미를 누구보다 잘 알고 있다는 얘기다.

일각에서는 문 대통령이 향후 국정운영 기조를 제시할 광복절 기념식 직후 인사가 있을 것이란 관측도 있었지만, 뜸을 들이지 않았다. 당초 ‘7말 8초’ 청와대 개편 구상에서 빠져 있던 노 실장은 후임을 물색하는데 시간이 걸리고, 개각과도 맞물려 있어 ‘조건부 유임’으로 가닥이 잡힌 것으로 보인다.

비서실장 교체 시점에 대한 관측은 엇갈린다. ‘김대중의 박지원’ ‘노무현의 문재인’처럼 마지막 비서실장은 대통령의 절대적 신뢰에서 비롯된 권위와 정무적 판단으로 당정청을 아우르고, 남은 임기 성과를 내야 하며 질서 있는 퇴각도 준비해야 한다. 최근 그린벨트(개발제한구역)나 주식 양도소득세 논란에서 보듯 대통령이 나서지 않으면 되는 일이 없는 상황이 벌어지지 않도록 선제적으로 판단해야 한다.

하지만 비서실장 후보군 대부분이 조건에 딱 들어맞지 않다는 게 청와대의 고민이다. 여권에서 양정철 전 민주연구원장의 등판설이 불거지는 것도 같은 맥락이다. 양 전 원장을 발탁한다면 ‘3철(과거 문 대통령의 측근인 양정철·이호철·전해철) 프레임’이 재현되는 데 따른 정치적 부담이 가장 큰 걸림돌이다. 때문에 노 실장이 개각까지 직을 수행할 것이란 전망과 함께 연말까지 갈 수 있다는 관측이 공존하는 상황이다.

여권 핵심관계자는 “재신임은 아니지만, 대놓고 ‘조건부 유임’이라고 말할 수도 없는 상황”이라면서 “교체 시기는 대통령의 의지에 달려 있다”고 말했다.

임일영 기자 argus@seoul.co.kr
2020-08-11 3면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