뷰페이지

[이슈픽] 암 환자 아니어도 구충제 먹지 마세요

[이슈픽] 암 환자 아니어도 구충제 먹지 마세요

김유민 기자
김유민 기자
입력 2020-09-22 12:00
업데이트 2020-09-22 12: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개그맨 김철민 구충제 부작용 토로
2008년부터 간손상 사례 학계 보고

개그맨 김철민
개그맨 김철민
폐암 4기 판정을 받고 투병생활 중인 개그맨 김철민이 동물용 구충제 펜벤다졸을 먹고 부작용을 경험했다며 이를 절대 권하지 않는다고 밝혔다. 수술이 불가능한 상태에서 지푸라기라도 잡고 싶었다는 김철민은 지난해 10월 6일부터 구충제를 먹었지만 5개월 만에 중단했다. 암은 경추로 전이됐고 초반 좋아진 듯 했던 간 수치는 다시 올랐다.

김철민을 비롯한 암 환자들에게 펜벤다졸로 암을 완치했다는 외국 사례들은 희망처럼 들렸고 이 때문에 펜벤다졸은 품귀현상을 빚기도 했다. 항암과 방사선치료, 통증을 완화하는 마약 패치가 받을 수 있는 치료의 전부인 말기 환자들은 같은 상황인 김철민이 직접 복용하고 전하는 구충제 효과에 주목했다.

김철민은 구충제 복용 초반 식욕이 좋아지고 노래하는 목소리도 돌아오고 간수치도 좋아졌다고 고백했다. 김철민은 오전에는 사람이 먹는 알벤다졸, 오후에는 동물용 구충제인 펜벤다졸을 복용하면서 용량을 늘렸다. 결과는 간에 큰 무리를 줬고 암도 죽이지 못했다.

김철민은 22일 CBS ‘김현정의 뉴스쇼’에 “(1년전) 그런 입장으로 돌아간다면 저는 안 할 것이고 만약에 우리 가족이 그런 일이 있다면 나는 먹지 말라고, 절대 반대할 것이다. 분명 실패했다. 절대 저는 권하고 싶지 않다”라고 힘을 주어 말했다.
과거 50%대에 이르던 기생충 감염률은 1% 미만으로 낮아졌지만 여전히 구충제를 예방 목적으로 먹어야 한다고 잘못 이해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사진은 1970년 4월 정부가 설치한 기생충 상담소. 서울신문 DB
과거 50%대에 이르던 기생충 감염률은 1% 미만으로 낮아졌지만 여전히 구충제를 예방 목적으로 먹어야 한다고 잘못 이해하고 있는 사람들이 많다. 사진은 1970년 4월 정부가 설치한 기생충 상담소. 서울신문 DB
사람 구충제 알벤다졸도 간에 위험
최근 항암제로 소문난 개 구충제 펜벤다졸과 같은 계열약이라는 이유로 알벤다졸을 과복용하는 사례가 나오고 있다. 펜벤다졸과 알벤다졸은 같은 벤지미다졸 계열 약물로 두 약물 모두 학계에 급성 간손상 위험이 보고됐다.

증상이 없는데도 매년 정기적으로 구충제를 복용하는 사람이 적지 않기에 이같은 연구결과는 주목할 만 하다. 이성욱·백양현 동아대병원 소화기내과 교수팀이 지난해 대한소화기학회지에 보고한 ‘알벤다졸의 예방적 투약에 의한 약물 유발 간손상 1예’ 보고서에 따르면 2008년부터 최근까지 구충제 ‘알벤다졸’을 복용한 뒤 ‘급성 간손상’을 경험해 국내 학계에 보고된 사례가 11건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1종류의 구충제를 먹고 간손상 사례가 10건 넘게 발생한 것은 매우 이례적인 일로, 연구팀은 실제로 구충제를 복용했다가 병원을 방문한 20대 여성 1명의 치료사례를 보고했다.

이 여성은 1주일 전부터 구역질, 피로감, 황달(담즙색소가 몸에 과도하게 쌓여 눈 흰자위나 피부가 노랗게 변하는 증상) 등의 증상을 느껴 병원을 찾았고, 의료진에게 “다른 약은 복용하지 않았고 기생충 예방을 위해 알벤다졸 400㎎ 1알을 1회 복용했다”고 말했다. 담즙색소(빌리루빈)는 정상인 최대치의 2배, 간수치(혈청 ALT)는 3배에 이르렀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국민의 회충이나 편충 양성률이 0.5%를 밑도는 시점에서 구충제를 정기적으로, 예방목적으로 복용하는 건 권장할 수 없다고 조언한다. 예방목적으로 복용해도 구충제가 몸속에서 절반 이상 빠져나가는 ‘반감기’가 8~12시간에 불과해 혈액 속에서 농도가 오랫동안 유지되지 않기 때문에 예방효과 역시 거의 없다는 것이다.

김유민 기자 planet@seoul.co.kr

많이 본 뉴스

  • 4.10 총선
저출생 왜 점점 심해질까?
저출생 문제가 시간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습니다. ‘인구 소멸’이라는 우려까지 나옵니다. 저출생이 심화하는 이유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시나요.
자녀 양육 경제적 부담과 지원 부족
취업·고용 불안정 등 소득 불안
집값 등 과도한 주거 비용
출산·육아 등 여성의 경력단절
기타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