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시장조사업체 카운터포인트리서치 조사 결과 삼성전자는 지난해 4분기 인도 스마트폰 시장에서 점유율 19%로 샤오미, 비보에 이어 3위로 내려앉았다. 2017년 4분기 처음 샤오미에 1위 자리를 뺏긴 데 이어 이번엔 비보의 거센 추격에 2위 자리마저 내준 것이다. 지난해 인도의 스마트폰 출하량은 1억 5800만대로 중국에 이어 세계 2위 시장이라는 점에서 삼성 스마트폰 사업에 경고등이 켜진 셈이다.
●中업체에 밀려 작년 4분기 3위로 후퇴
지난해 4분기 점유율과 전년 동기만 비교해 봐도 중국업체들은 인도 시장을 급속하게 잠식하는 추세다. 샤오미가 점유율 27%로 6분기 연속 1위 자리를 지키는 가운데 비보는 지난해 21%로 전년 동기(10%)보다 점유율을 2배 이상 늘리며 2위를 꿰찼다. 4위 오포도 전년 동기 7%에서 지난해 4분기 12%로 몸집을 키우며 4위에 안착했다. 이에 따라 중국업체들의 합산 시장 점유율도 지난해 72%로 2018년 60%에서 대폭 늘었다.
전문가들은 중국업체가 100~150달러가량의 저가 제품에 집중하면서도 삼성, 애플 등의 디자인, 기능을 유사하게 좇으며 가성비를 높인 것이 주 소비층인 인도 젊은이들을 파고드는 데 주효했던 것으로 본다. 현지 생산으로 비용을 대폭 절감하고 온라인 업체와의 전용 계약으로 마케팅 비용도 줄이며 제품가를 낮췄다. 유통상에 다른 경쟁업체보다 높은 인센티브를 제공하며 공격적 마케팅에 드라이브를 건 것도 시장을 빠르게 장악할 수 있었던 배경이라는 설명이다.
김용식 포스코경영연구원 수석연구원은 “2012~2013년 정도만 해도 인도 토종 업체의 시장 점유율이 전체의 40~50%를 차지했다. 하지만 인도 업체들이 현지에 생산 공장이 없어 중국에 제조자개발생산(ODM)을 맡기면서 중국업체가 인도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제품 특징이나 인도 시장의 유통 경로를 깊이 이해하고 파악할 수 있는 계기가 만들어졌다”고 짚었다.
삼성의 점유율 하락은 일시적인 현상일 뿐 장기화하진 않을 거란 진단도 나온다. 삼성전자는 최근 인도에 갤럭시A51, 갤럭시S10 노트 라이트 등 보급형 제품을 선보이는 등 다양한 중저가 라인으로 가격 경쟁력 확보에 적극 나서고 있다.
●“인도 중산층 시장 점차 커져 삼성에 유리”
2018년 인도 노이다에 세계 최대 스마트폰 공장을 세운 데 이어 최근 스마트폰용 디스플레이 패널·배터리 공장 설립까지 추진하는 것도 자국 내 생산 공장을 짓는 기업에 관세 혜택 등을 제공하는 인도 모디 정부의 ‘메이크 인 인디아’ 정책과 맞물려 시장 확대에 유리하다는 분석이다.
조의윤 국제무역통상연구원 연구원은 “삼성이 노이다 스마트폰 공장에 이어 스마트폰 디스플레이 패널·배터리 공장 투자 계획을 인도 당국에 제출한 만큼 생산 물량은 확대하고 내부 조달로 생산비는 낮추며 경쟁력을 회복할 것으로 보인다”며 “인도 경제성장률이 매년 평균 6%씩 증가하며 중산층 시장이 점차 커지고 있어 장기적으로는 프리미엄 시장에 강한 삼성에 유리할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종민 삼성전자 무선사업부 상무는 30일 진행된 삼성전자 실적 콘퍼런스콜에서 “시장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으나 지난해 온라인 채널 확대를 위해 갤럭시M 시리즈를 도입해 전년 대비 온라인 매출이 증가되는 성과도 거뒀다”며 “현지 소비자들의 수요를 반영한 새로운 모델을 적기에 출시하고 유통업체와의 협력을 강화하는 등의 노력으로 시장 변화에 적극 대처하겠다”고 말했다.
정서린 기자 rin@seoul.co.kr
2020-01-31 38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