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로벌 In&Out] 코로나 시대의 유학생활 ‘서울 시즌 2’/페브리아니 엘피다 트리흐따라니 서울대 국문학과 박사 과정

[글로벌 In&Out] 코로나 시대의 유학생활 ‘서울 시즌 2’/페브리아니 엘피다 트리흐따라니 서울대 국문학과 박사 과정

입력 2020-12-08 20:38
수정 2020-12-09 02:03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이미지 확대
페브리아니 엘피다 트리흐따라니 서울대 국문학과 박사 과정
페브리아니 엘피다 트리흐따라니 서울대 국문학과 박사 과정
올해 하반기부터 다시 서울에서 유학생활을 시작했다. 3년 전 첫 번째로 한국 유학생활을 했다. 따라서 이번이 ‘서울 시즌 2’이다. ‘서울 시즌 2’로 마음이 무척 설?지만 한편 두려웠다. 특히 전 세계가 어려운데 외국에서 유학 오는 것이 쉬운 일이 아니고 지금도 믿기지가 않는다. 코로나19가 모든 것을 변화시키는 지금, 유학생활도 변화했다.

8월 한국에서 코로나가 제2차 유행 중인 가운데 인천공항에 도착했다. 평상시엔 입국 후 4시간 안에 기숙사의 포근한 침대 위에 누웠는데 지금은 공항에서 코로나 예방조치 탓에 무려 8시간 뒤에나 가능했다. 나의 ‘서울 시즌 2’는 3년 전의 ‘서울 시즌 1’과 매우 큰 차이가 있었다. 인천에 도착한 순간부터 느껴졌다. 인천 공항이 그렇게 한적한 모습을 처음 보았다. 마음이 쓸쓸했다. 공항에서 자유롭게 움직일 수 없었고 특정버스를 기다려야 해서 묘한 느낌을 받았다. 그러나 매우 신속하고 통합적인 조치로 자가격리 시설까지 무사히 도착할 수 있었다. 자가격리 시설에 도착하기 전 보건소의 직원들이 우리가 비에 맞지 않도록 잘 챙겨 주었다. 일에 대한 충실함에 매우 감사하게 느꼈다. 열일하며 챙겨 주는 직원의 선한 마음이 와닿았다. 나도 나의 일에 더욱 충실해야겠다는 결심까지 하게 만들었다.

우리 대학교의 자가격리 시설에서 나의 ‘서울 시즌 2’가 시작됐다. 난생처음으로 자가격리를 해야 할 뿐더러 코로나 검사도 두 번을 받았다. 주변 사람들이 자가격리를 하는 데 힘들지 않냐, 답답하지 않냐고 물어왔지만 나는 오히려 힘들거나 답답해하지는 않았다. 2주 동안 햇빛을 직접 느낄 수 없는 것 이외에는 모든 순간이 지낼 만했다. 학교에서 유료로 제공되는 시설이라 하루의 세 끼니도 잘 제공되었지만 기대 이상으로 아주 잘 제공되었다고 생각했다.

학교에서는 종교로 음식을 편식하는 나와 같은 학생들의 요청을 일일이 들어 주었다. 그때 골고루 아주 잘 먹었던 것 같았다. 그 시간이 전혀 답답하지 않았다고 자신 있게 대답할 수 있었다. 한국에 오기 전까지 코로나로 인해 재택근무를 하게 된 상황에서도 바쁘게 일했던 내 자신에게 자가격리 시간은 오히려 편히 쉬는 시간이 되었다. 못 봤던 영화도 제대로 봤고※ 못 했던 일도 편히 마무리한 기억이 난다. 지금 기말을 앞두고 잠이 부족한 내 자신은 그 시간이 때로는 그립다.

자가격리를 건강하게 마치고 나의 ‘서울 시즌 2’는 본격적으로 시작됐다. 학생으로서 비대면 수업을 처음으로 경험했다. 신기했다. 지금처럼 최신 기술이 없다면 수업을 어떻게 들을 수 있을까. 상상도 못했다. 무척 힘들고 어렵고 지치지만 실제로는 우리가 감사해야 할 다른 것이 있다. 친구들과 자유롭게 약속을 잡고 밖에서 만나기가 힘들어서 홀로 시간을 보낼 때가 많고 외로울 때도 있다. 그러나 아직까지는 온라인으로 이야기를 나눌 수 있어 무척 다행이다. 주말마다 새 카페나 새 여행지를 정해서 친구들과 놀러갈 여유, 혹은 문화생활을 마스크 없이 지낼 수 있을 여유를 가지지 못해서 아쉽다. 그렇지만 집에서 또는 혼자서 시간을 보내고 나름대로 자기계발을 할 수 있는 수많은 방법을 찾아 그렇게 보내게 되어 보람 있게 보내고 있다. 지금 힘든 시기지만 사소한 것에 감사할 마음을 잊지 않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 그래야 나의 ‘서울 시즌 2’의 초창기가 ‘서울 시즌 1’에 비교해 그 나름대로의 독특함을 가지지 않을까 싶다.

서울은 나한테 늘 특별하고 고향 같은 곳이다. 코로나 시대에 다시 시작한 나의 서울, 혹은 한국 생활이 나중에 세월이 흘러 잊지 못할 아름다운 추억이 되리라. 그리고 이 힘든 시기를 겪는 우리에게 “우리는 할 수 있다”고 외치고 싶고 “모든 것이 잘될 것이다”고 말하고 싶다. “내년에도 우리 더 행복해지자.” 작은 위로가 필요하다.
2020-12-09 29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출산'은 곧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가
모델 문가비가 배우 정우성의 혼외자를 낳은 사실이 알려지면서 사회에 많은 충격을 안겼는데요. 이 두 사람은 앞으로도 결혼계획이 없는 것으로 알려지면서 ‘출산’은 바로 ‘결혼’으로 이어져야한다는 공식에 대한 갑론을박도 온라인상에서 이어지고 있습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떠신가요?
‘출산’은 곧 ‘결혼’이며 가정이 구성되어야 한다.
‘출산’이 꼭 결혼으로 이어져야 하는 것은 아니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