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주대 문인화가·시인
비행기만 다니는 마을, 전깃불이 고등학교 때에야 들어온 시골 마을에서 나는 나고 자랐다. 우리 마을은 같은 성씨들이 모여 사는 집성촌이다. 마을 사람들이 모두 친척들이다. 마을 아이들과는 형제나 남매처럼 지냈다. 그래서 우리 마을 아이가 선생님께 혼이 나거나 다른 마을 아이들에게 놀림을 당하면 모두 자신이 당하는 것처럼 두려웠고 창피했고 함께 슬펐다.
나는 재수가 좋아 대학까지 나왔지만, 동네 아이들은 대부분 초등학교, 중학교만 마치면 대도시로 가서 공장에 다니거나 친척 집 장사를 도우면서 생계를 이어 갔다. 산업체학교(기숙사 생활을 하며 낮에는 공장에서 일하고 밤에는 공부하는 학교)에 들어간 아이 중에는 대학을 가서 남보란 듯이 잘 사는 아이도 있다. 만리객지 서울이란 곳에서 동네 아이들끼리 1년에 한두 번 모였던 것 같다.
초등학교 마치고 일찍 서울로 간 여자아이 중에 정희가(가명) 있다. 명절 때 가끔 내려와서 서울 말투로 말을 하면 우리는 그를 부러워했다. 우리가 고등학교 갈 즈음에 정희는 수저를 만드는 영등포 어느 공장에 다닌다고 했고, 내가 대학 갈 때쯤에 정희는 화장을 짙게 하고 고향에 왔던 걸로 기억한다.
서울로 대학을 와서 정희를 몇 번 만났다. 나를 오빠라고 부르며 참 잘해 주었다. 한번은 고향 친구들끼리 모여 술을 마셨는데 정희가 자신이 일하는 술집으로 술에 취해 비틀비틀 우리를 다 데리고 갔다. 어둡고 좁고 붉은 등이 켜진 곳이었다. 눈이 아프다고 불을 밝게 해 달라고 해도 그 붉은 어둠이 정희의 전부였다. 정희가 가게 주인은 아니었다. 주인에게 허락을 받고 우리를 데리고 가서 술을 마셨다.
술에 취한 정희가 울었다. 어렴풋이 기억나기로는 웬 늙은 남자가 와서 행패를 부렸던 것 같다. 술을 마시던 우리 동네 아이들이 모두 힘을 합쳐 그 남자를 쫓아냈다. 1년에 한 번 만나는 모임에 정희는 짙은 화장을 하고 나타나 취하면 자주 울었다. 술집에서 일하며 사랑을 했고, 남자를 만나고 버림을 받고, 다시 만나서 또 이별하고…. 그야말로 삼류 영화 속 이야기가 정희에게는 지독한 현실이었다.
그러다가 술집 일을 그만두고 미용을 배워 미용실을 차렸다. 정희 결혼식 때는 아직 등단도 하지 않은 내가 축시를 읽어 주었다. “눈물 한 방울이 기차를 타고 와서 서울에 내렸다”로 시작되는 시였다. 아이가 생기지 않는다고 고민하던 정희가 결혼 4년 만에 이혼했다. 이혼을 당했다는 말이 맞겠다. 슬픈 일이지만 애 못 낳는다고 이혼당하던 말도 안 되는 시절도 있었다. 정희는 다시 술집에 나갔다.
객지로 온 우리 동네 아이들은 빨리 어른이 되었고 빨리 늙어갔다. 1년에 한 번 하던 모임은 시나브로 없어지고 정희와의 소식도 끊어졌다. 시간이 많이 흘러 내가 40세 되던 해에 정희의 부고를 받았다. 공장에서 술집으로 술집에서 미용실로 간 정희 그리고 짧게나마 가정을 이루었던 정희, 다시 술집으로 돌아간 화장 짙은 정희는 그렇게 우리 곁을 떠났다. 세상의 정희들은 다 그렇게 우리 곁을 떠났다.
이것이 어제 올린 시에 일면식도 없는 여성이 달았던 댓글을 보고 내가 몹시 화가 났던 이유라면 이유다. 더는 말하고 싶지 않다. 어쩌면 지난 시절은 다 그렇게 흘러가고 우리에게는 늘 새로운 시간만 닥쳐오는 거니까.
2021-04-14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