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적 소명의식이란 자기 시대를 살면서 현실을 바르게 보고 내면의 성찰을 통해 어떻게 생각하고 행동할 것인가를 짚어 나가는, 일련의 깨어 있는 마음이라고 말할 수 있다. 이것은 각자의 삶 속에서 부딪히는 안팎의 현상들에 대한 일종의 주관적 소신이기 때문에 사람마다 다르게 나타날 수밖에 없다. 소명의식의 발현은 주어진 역할 속에서 자기 몫을 최대한 끌어올리려는 마음자세에서 시작되기 때문에 자칫 능력 등 우월적 차별의식을 정당화하는 데 집착할 경우, 사회는 집단적 이기주의로 흘러 극심한 혼란이 초래될 수 있다. 그래서 소명의식은 무엇이 모두에게 가장 이로운 공약수인지를 분별하는 마음가짐에서 출발돼야 한다.
소명의식의 필요성은 주변상황을 살펴 현재에 대한 정확한 인식을 갖고 생존문제를 해결하며 미래의 자신과 후손들까지 아우르는 데 있다. 그럼에도 우리는 모든 역량을 물질적 풍요의 극대화에 전력투구해야 했기 때문에 소명의식을 잊고 살았다. 경제적으로 소기의 성과를 거두었으나 물질이 객관적 판단기준이 되면서 대부분의 사람들은 더 많은 물질을 구하는 데 목숨을 걸고 있다. 마치 물질의 도움 없이는 더 이상 한 발짝도 나아갈 수 없는 중증환자의 병색이 완연하다. 썩어가는 환부를 도려내고 다시 건강한 소명의식으로 이식시키는 것이 시급해졌다.
어떤 소명의식이 보편적 가치에 부합하는 것일까? 국민들 각자의 내면을 보면, 과거와 달리 무한적이고 무차별적인 복지를 주문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누구도 일시에 폭발하는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방법은 찾기 어렵다. 조금이라도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서는 공평한 소명의식이 있어야 한다. 공평한 마음이야말로 작고 적음에도 만족하며 타인을 이롭게 배려하려는 아름다운 미덕이다. 마찬가지로 위정자는 국민이 나라의 근본임을 명심하여 자기의 몸과 같이 돌보겠다는 의지로, 관료들은 다스리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을 위해 본분을 다하는 공복으로, 재벌들은 나라와 국민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 다 같이 고민하는 모습으로 국민에게 다가간다면 더 이상 바람직한 소명의식은 따로 없을 것이다.
‘무식반어’는 생선을 뒤집어 먹지 말라는 의미로 안자춘추 내편잡상에 나오는 이야기다. 제나라의 경공이 기나라 땅을 여행하다 우연히 얻은 금항아리 속에 무식반어(無食反魚), 물승노마(勿乘駑馬)라고 쓰여진 종이를 보고, 생선은 비린내가 나니 뒤집어 먹지 말라는 것이요, 느린 말은 멀리 가기에 적합하지 않으니 타지 말라는 뜻이니 훌륭한 글귀라고 칭찬하자, 안자는 “그 글귀는 백성의 기운이 다할 때까지 부려 먹지 말며 어리석고 무능한 벼슬아치를 등용시키지 말라는 뜻으로 풀어야 합니다.”라고 답한 데서 연유한다. 아랫사람들이 먹을 것이 없을 정도로 생선을 뒤집어 뼈만 남도록 먹어치우면 백성의 고혈을 착취해서 근본을 갉아먹는 것과 같고, 혈연과 지연 등으로 능력 없는 관료들을 측근에 둘 경우, 위정자의 눈과 귀가 막혀 나라는 썩고 부패하여 멀리 나아가지 못하고 주저앉는다는 말이다. 나라를 다스림에 있어 어떤 소명의식이 필요한지 보여주는 일화다.
요즘 런던 올림픽 승전보에 열대야 속에서도 온 국민이 한마음으로 응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 작은 나라가 당당하게 3위에 이름을 올리고, 축구종목에서는 영국이란 종주국을 꺾고 역사상 처음으로 올림픽 4강에 오르는 기염을 토하고 있다. 우리의 국력과 국민들의 저력이 여기까지 다가와 있다는 가슴 벅찬 사실에 모두가 놀라워 말문을 열지 못하고 있다. 열심히 노력한 만큼 이룰 수 있다는 자신감이 선수들의 얼굴에서 확연히 묻어나고 있다. 선수마다 메달에 도전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확고한 소명의식을 갖고 있음이다. 이렇게 우리의 거대한 역량과 기운을 확인한 만큼, 더 이상 변화를 두려워하지 말고 조화롭게 사는 사회를 모색해야 한다.
이번 기회에 우리 모두 올바른 소명의식으로 새롭게 무장하여 눈앞에 전개되고 있는 작금의 수많은 다툼과 혼란을 용광로처럼 녹여버리고 새로운 시대를 열어 나가자.
박광철 법무법인 태평양 고문
어떤 소명의식이 보편적 가치에 부합하는 것일까? 국민들 각자의 내면을 보면, 과거와 달리 무한적이고 무차별적인 복지를 주문하고 있음을 발견하게 된다. 누구도 일시에 폭발하는 다양한 욕구를 충족시켜줄 방법은 찾기 어렵다. 조금이라도 시행착오를 줄이기 위해서는 공평한 소명의식이 있어야 한다. 공평한 마음이야말로 작고 적음에도 만족하며 타인을 이롭게 배려하려는 아름다운 미덕이다. 마찬가지로 위정자는 국민이 나라의 근본임을 명심하여 자기의 몸과 같이 돌보겠다는 의지로, 관료들은 다스리기 위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국민을 위해 본분을 다하는 공복으로, 재벌들은 나라와 국민을 위해 무엇을 할 것인지 다 같이 고민하는 모습으로 국민에게 다가간다면 더 이상 바람직한 소명의식은 따로 없을 것이다.
‘무식반어’는 생선을 뒤집어 먹지 말라는 의미로 안자춘추 내편잡상에 나오는 이야기다. 제나라의 경공이 기나라 땅을 여행하다 우연히 얻은 금항아리 속에 무식반어(無食反魚), 물승노마(勿乘駑馬)라고 쓰여진 종이를 보고, 생선은 비린내가 나니 뒤집어 먹지 말라는 것이요, 느린 말은 멀리 가기에 적합하지 않으니 타지 말라는 뜻이니 훌륭한 글귀라고 칭찬하자, 안자는 “그 글귀는 백성의 기운이 다할 때까지 부려 먹지 말며 어리석고 무능한 벼슬아치를 등용시키지 말라는 뜻으로 풀어야 합니다.”라고 답한 데서 연유한다. 아랫사람들이 먹을 것이 없을 정도로 생선을 뒤집어 뼈만 남도록 먹어치우면 백성의 고혈을 착취해서 근본을 갉아먹는 것과 같고, 혈연과 지연 등으로 능력 없는 관료들을 측근에 둘 경우, 위정자의 눈과 귀가 막혀 나라는 썩고 부패하여 멀리 나아가지 못하고 주저앉는다는 말이다. 나라를 다스림에 있어 어떤 소명의식이 필요한지 보여주는 일화다.
요즘 런던 올림픽 승전보에 열대야 속에서도 온 국민이 한마음으로 응원을 아끼지 않고 있다. 이 작은 나라가 당당하게 3위에 이름을 올리고, 축구종목에서는 영국이란 종주국을 꺾고 역사상 처음으로 올림픽 4강에 오르는 기염을 토하고 있다. 우리의 국력과 국민들의 저력이 여기까지 다가와 있다는 가슴 벅찬 사실에 모두가 놀라워 말문을 열지 못하고 있다. 열심히 노력한 만큼 이룰 수 있다는 자신감이 선수들의 얼굴에서 확연히 묻어나고 있다. 선수마다 메달에 도전하는 이유가 무엇인지 확고한 소명의식을 갖고 있음이다. 이렇게 우리의 거대한 역량과 기운을 확인한 만큼, 더 이상 변화를 두려워하지 말고 조화롭게 사는 사회를 모색해야 한다.
이번 기회에 우리 모두 올바른 소명의식으로 새롭게 무장하여 눈앞에 전개되고 있는 작금의 수많은 다툼과 혼란을 용광로처럼 녹여버리고 새로운 시대를 열어 나가자.
2012-08-07 30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