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 가지는 민중미술, 저 가지엔 봄기운… 임옥상은 나무다

이 가지는 민중미술, 저 가지엔 봄기운… 임옥상은 나무다

이순녀 기자
이순녀 기자
입력 2021-02-03 17:06
수정 2021-02-04 01:1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임옥상 화가 개인전 ‘나는 나무다’

흙으로 표현한 거친 생명력·섬세한 감성
사회 비판적 성격은 빼고 ‘서정성’ 짙게


“자유의지로 그려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
‘민중미술’ 한 가지 틀에 갇히는 것 경계
이미지 확대
오는 28일까지 열리는 전시회 ‘나는 나무다’에서는 ‘봄날은 간다’처럼 생명력 넘치는 나무들을 마주할 수 있다.  갤러리 나우 제공
오는 28일까지 열리는 전시회 ‘나는 나무다’에서는 ‘봄날은 간다’처럼 생명력 넘치는 나무들을 마주할 수 있다.
갤러리 나우 제공
나무처럼 살고자 했다. ‘도리불언 하자성혜’(桃李不言 下自成蹊)를 좌우명으로 삼았다. 복숭아나무와 오얏나무는 말을 하지 않아도 그 아래 길이 생기듯 덕이 있으면 절로 사람들이 따른다는 뜻이다. 땅 위에 굳건히 버티고 서서 어떤 고난에도 굴하지 않고 계절마다 제 몫의 꽃과 열매를 피워 내는 의연함을 닮고 싶었다. 그런 소망을 담아 딸의 이름도 ‘나무’로 지었다.
이미지 확대
민중미술 화가로도 잘 알려진 임옥상은 흙에 수용성 접착제 등을 섞어 캔버스에 붙이는 기술로 그림을 완성했다. 갤러리 나우 제공
민중미술 화가로도 잘 알려진 임옥상은 흙에 수용성 접착제 등을 섞어 캔버스에 붙이는 기술로 그림을 완성했다.
갤러리 나우 제공
서울 강남구 신사동 갤러리 나우에서 개인전 ‘나는 나무다’를 펼치는 화가 임옥상 얘기다. 민중미술 대표 작가로 사회 비판적이고 현실 참여적인 작품들을 주로 선보여 온 그였기에 서정성 짙은 제목의 전시가 의외였는데, 알고 보니 신실한 나무 예찬론자였다. ‘나는 나무다. 나무로 산 지 오래다. 나무가 아프면 나도 아프고 나무가 춤추면 나도 춤춘다’는 고백처럼 전시장에는 거친 생명력과 섬세한 감성을 지닌 작가를 닮은 나무 그림 80여점이 빼곡히 걸렸다. 가로 5m가 넘는 대형 작품부터 작은 그림 60점을 하나의 퍼즐처럼 구성한 연작까지 다채롭다.

흙, 종이, 쇠 등 다양한 재료로 끊임없이 새로운 조형세계를 구축해 온 그는 3년 전부터 흙을 캔버스에 고르게 펴서 바른 뒤 붓질의 강약으로 흙을 밀어내 형상을 만들고, 그 위에 색을 입히는 작업에 몰두하고 있다. 흙은 그가 오랫동안 천착해 온 재료다. 흙의 느낌을 살리려고 종이 부조 작업에 공을 들였지만 만족할 수 없었다. 여러 번 시행착오를 거쳐 흙에 수용성 접착제 등을 섞어 캔버스에 붙이는 기술을 고안해 냈다. 이번 전시에 나온 나무 그림들은 이 같은 방식으로 완성했다. 작가는 “나무를 그리는 데 최적화된 재료가 흙”이라면서 “흙과 나무는 찰떡궁합”이라고 했다.
이미지 확대
오는 28일까지 열리는 전시회 ‘나는 나무다’에서는 ‘은행나무 2021-1’처럼 생명력 넘치는 나무들을 마주할 수 있다.  갤러리 나우 제공
오는 28일까지 열리는 전시회 ‘나는 나무다’에서는 ‘은행나무 2021-1’처럼 생명력 넘치는 나무들을 마주할 수 있다.
갤러리 나우 제공
흙으로 표현한 나무는 이전에 그렸던 나무들과 질감이나 형태가 다를 뿐 아니라 의미에도 차이가 있다. 1970년대 말에서 1980년대 초에 그린 동네 어귀의 당산나무, 구름에 가린 나무가 사회의 구조적인 모순을 은유하는 상징적인 표현이었다면 지금의 나무 그림은 생태학적이고, 자연친화적인 환경에 대한 관심이 두드러진다. 은행나무, 느티나무, 매화나무 등 나무의 특성에 따라 줄기와 가지가 제각각 뻗어 나간 모양새는 생명력이 넘친다. 동양화에서 최고 경지로 여기는 ‘기운생동’(氣韻生動)이 흠뻑 묻어난다. 앙상하지만 꼿꼿한 겨울나무에선 절개가 느껴지고, 봄바람에 흩날리는 매화 꽃잎은 보는 이의 마음을 흔든다.

서울대 미대와 대학원에서 회화를 전공한 작가는 1979년 ‘현실과 발언’ 동인 창립 멤버로 활약하고, 민족미술인협회 대표를 역임하는 등 부정과 억압에 저항하는 예술운동을 적극적으로 펼쳤다. 하지만 민중미술이라는 한 가지 틀로 자신의 작품이 규정되는 것을 경계했다. 그는 “내가 그린 그림들은 미술의 지평을 넓히기 위한 것”이라며 “사회성 짙은 작품이든 아니든 항상 내 자유의지대로 그려 왔고, 앞으로도 그럴 것”이라고 말했다. 전시는 오는 28일까지.

이순녀 선임기자 coral@seoul.co.kr

2021-02-04 25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