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네 타는 여자아이가 그려진 백자만 해도 그렇다. 학예사들이 ‘춘향이’라고 이름 붙였다는 그 백자다. 뒷면에는 또 다른 여자아이가 긴 막대를 들고 서 있다. 그런데 앞뒷면 그림을 평면으로 펼쳐 놓은 디지털 화면을 보니 춘향이의 뒤통수가 위험하다. 긴 막대가 춘향이 뒤로 살금살금 다가가고 있으니…. 짓궂은 도공의 의도된 연출인지, 현대 기술이 만들어 낸 트릭인지는 알 수 없다. 분명한 것은 흥미롭다는 것, 그리고 전시가 공짜라는 점이다.
바로 옆 전시관에서는 ‘미술계의 악동’이라 불리는 마우리치오 카텔란 전이 열리고 있다. 놀랍게도 이것도 공짜다. 이면의 배경이 뭐든 삼성의 문화 나눔에는 고개가 숙여진다.
안미현 수석논설위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