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화재청의 국가문화유산포털은 한반도에 가야와 관련된 고분군이 780개 남짓 분포하고, 이 고분군에 들어선 무덤은 모두 수십 만기를 헤아린다고 설명한다. 각 정치체는 지역마다 형식이 조금씩 다른 무덤을 만들었는데, 가야가 출범한 기원 전후부터 대가야가 멸망하는 562년까지 지속적으로 조성했다는 것이다. 한마디로 이번에 세계유산에 오른 7개 고분군은 빙산의 일각에도 미치지 못한다는 뜻이다.
가야문화권은 영남이 중심이지만 호남에도 넓게 펼쳐져 있었다. 전북 동부에서 가야계 고분이 처음 확인된 것이 1974년 임실 금성리 유적이다. 1982년에는 남원 월산리에서 가야고분군이 발굴됐다.
가야의 범위를 처음으로 호남으로 확장시킨 이는 실학자 성호 이익(1681~ 1763)이다. 최근의 고고학적 조사 결과는 성호의 견해를 확인시켜 주고 있다. 남원에서만 월산리ㆍ유곡리ㆍ두락리에 건지리ㆍ봉대리ㆍ임리ㆍ행정리ㆍ북천리에서 가야의 존재가 밝혀졌다. 장수 삼봉리ㆍ장계리ㆍ호덕리ㆍ동촌리ㆍ노하리ㆍ삼교리에서도 확인됐다. 진안 황산리와 무주 대차리에 이어 더욱 서쪽으로 진출한 임실 금성리에서도 가야 문화의 양상이 드러났다.
남원과 장수의 가야고분군은 산지이면서도 비교적 땅이 넓은 분지에 자리잡았다. 한반도 대표적 철광석 산지로 곳곳에서 제철 유적도 확인되고 있으니 고대사회의 중심지로 결정적 환경을 갖추고 있었다. 장수에서 110기에 이르는 봉수 유적이 확인된 것도 상당한 세력의 존재를 방증한다.
호남 지역 가야 세력, 이른바 전북가야의 정치적 실체를 두고는 역사학계의 논쟁이 적지 않다. 하지만 이 지역 가야 문화의 양상은 누구도 부인하지 못한다. 세계유산 ‘가야고분군’은 7곳을 뛰어넘어 더욱 확대해야 한다. 당연히 개발에 따른 구제 발굴에 머물지 말고 학술 발굴을 이어 가 실체 규명을 앞당겨야 한다.
2023-09-19 27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