당초 계획한 427명 중 380여명 이송
40명가량은 카불공항에 접근 못한 듯
아프가니스탄 바그람기지 한국병원 모습. 2014.6.24
연합뉴스
연합뉴스
25일 외교부에 따르면 한국 정부와 협력한 아프간인 380여명이 26일 인천국제공항을 통해 한국에 도착한다.
정부는 이들의 이송을 위해 23일 군 수송기 3대를 중간 기착지인 파키스탄 이슬라마바드로 급파했다.
우리 군 수송기 3대는 24일부터 아프간 수도 카불과 이슬라마바드를 왕복하면서 아프간인 이송 작전을 시작했다.
이들은 조만간 수송기를 타고 현지를 빠져나올 예정이다.
이송 작전 직후 탈레반 “서방 협력자들 공항 진입 금지”
“8월 31일까지 외국군 철수”…시한 못 박은 탈레반 대변인
아프가니스탄을 장악한 이슬람 무장세력 탈레반의 자비훌라 무자히드 대변인이 24일(현지시간) 수도 카불에서 기자회견을 하면서 외국 군대의 아프간 철수 시한에 관해 발언하고 있다. 그는 8월 31일로 제시된 외국군 철수 및 민간인 대피 시한을 연장할 수 없다고 재차 강조했다. 2021.8.25
AFP 연합뉴스
AFP 연합뉴스
AP통신 등 외신에 따르면 자비훌라 무자히드 탈레반 대변인은 “공항으로 가는 길이 차단됐다”라면서 “아프간인은 그 길로 공항에 갈 수 없고 외국인만 공항에 가는 것이 허용된다”라고 밝혔다.
이어 “아프간인들이 (아프간을) 탈출하는 것이 불쾌하다”라면서 “더는 허용하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만약 이 발표가 하루나 이틀 전에 나왔다면 한국 정부에 협력한 아프간인들까지 공항에 접근하지 못해 우리 측과 만나지 못했을 것이다.
이날 발표 전에도 카불 곳곳에는 탈레반이 검문소를 설치했고, 피란민이 공항으로 몰리면서 카불 국제공항은 진입 자체가 쉽지 않은 상황이었다.
이에 미국과 북대서양조약기구(NATO) 회원국 등도 자국민과 협력자 이송에 큰 어려움을 겪었다.
독일 정부는 지난 17일 수천명을 공수할 계획으로 항공기를 보냈지만, 대혼란 상황 속에서 겨우 7명만 탑승한 채 출발하기도 했다.
우리 정부 역시 당초 계획했던 이송 인원 427명 중 40명가량을 미처 데려오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러나 대혼란에 빠진 현지 상황을 고려하면 당초 계획했던 인원 중 상당수를 데리고 나오는 데 성공했다.
수년간 한국에 협력…어린이도 100여명 포함
독일 람슈타인 미군기지로 피신한 아프간 어린이들
이슬람 무장조직 탈레반에 장악된 아프가니스탄을 미국 수송기를 타고 최근 탈출한 아프간 어린이들이 24일(현지시간) 독일 람슈타인 미군기지에서 사진기자의 카메라를 바라보고 있다. 2021.8.25
AP 연합뉴스
AP 연합뉴스
이들은 수년간 주아프가니스탄 한국 대사관, 한국국제협력단(KOICA), 바그람 한국병원, 바그람 한국직업훈련원, 차리카 한국지방재건팀에서 근무한 인원과 그 가족들이다.
한국 정부는 2001년 테러와 전쟁을 명분으로 아프간을 침공한 미국의 지원 요청에 비전투부대를 파병했다.
군부대는 2007년 12월 철수했지만, 정부는 최근 정권이 탈레반에 넘어가기 전까지 국제사회와 함께 아프간 재건을 지원했고, 이 과정에서 현지인을 다수 고용했다.
특히 정부는 2010년부터 2014년까지 지방재건팀(PRT)을 보내 현지 병원과 직업훈련원을 운영하면서 다수 현지인과 협력했다.
이들은 과거 한국을 위해 일했다는 이유로 탈레반의 보복 위험에 처했다며 정부에 도움을 요청해왔다.
외교부 “난민 아닌 특별공로자”…신원 확인 완료
최종문 차관, 국내 이송 아프간 협력자 관련 발표
최종문 외교부 2차관이 25일 서울 종로구 도렴동 외교부 브리핑실에서 아프간 현지인 조력자 국내 이송 관련한 발표를 하고 있다. 2021.8.25 연합뉴스
최 차관은 “이들은 난민이 아니라 특별공로자”라고 강조했다.
이들은 한국에 도착하면 충북 진천에 있는 국가공무원인재개발원에 머물 예정이다. 진천 시설에 머무는 기간은 6주 정도인 것으로 전해졌다.
정부는 우방국과의 정보 공유 등을 통해 이들의 신원을 확인했으며, 한국에 있는 기간에도 인권을 침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신원을 계속 확인할 계획이다.
외교부 고위당국자는 “서로 아는 사람들이고 아프간에서 일한 짧게는 1∼2년, 심지어 8년 동안 아무 문제 없었다면 크게 위험하지 않을 것으로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들에게는 일단 단기비자를 발급한 뒤 장기체류 비자로 일괄 변경된다. 고위당국자는 “영주권 같은 것도 검토하고 있다”고 말했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