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대로 알자! 의학 상식] 암으로 악화되는 대장 속 ‘전암용종’

[제대로 알자! 의학 상식] 암으로 악화되는 대장 속 ‘전암용종’

입력 2016-12-25 17:44
수정 2016-12-25 17:55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서구화된 식습관으로 최근 우리나라에서도 대장암 환자가 꾸준히 늘고 있다. 대장내시경을 받다가 용종을 발견하는 일도 늘었다. 용종(폴립)은 장벽에 볼록 튀어나온 작은 혹을 말한다. 대장 용종은 암으로 진행할 위험이 있는 ‘전암용종’과 그렇지 않은 용종으로 구분한다. 대표적인 전암용종이 ‘선종’이며 ‘톱니선종’도 암이 될 수 있다. 톱니선종은 과거 암으로 진행할 위험이 전혀 없다고 여겼던 ‘증식용종’의 일부가 진화한 것이다.

선종은 육류나 기름진 음식을 많이 먹고 흡연 또는 폭음을 하거나 비만한 사람에게서 잘 발생한다. 유전적 요인도 있어 가족 중 대장암이나 선종성 용종 환자가 있다면 자신도 선종이 생길 위험이 크다. 선종성 용종을 제거하지 않으면 일부가 대장암으로 악화한다. 특히 1㎝ 이상의 큰 선종을 그냥 뒀다가는 10년 후 8%가 대장암이 된다. 어떤 용종이 암으로 진행할지 예견하기가 쉽지 않기 때문에 모든 전암용종은 제거해야 한다.

대장내시경을 삽입하고서 집게나 올가미로 용종을 잡고 전기를 보내 잘라내는 대장내시경 용종절제술로 제거할 수 있다. 용종이 많으면 여러 차례 제거술을 받아야 한다. 매우 크거나 납작하면서 큰 용종, 이미 조기암으로 악화한 용종은 절제하기가 어려워 대장내시경 점막하박리술이라는 고난도의 내시경 절제술로 잘라내기도 한다. 간단한 용종절제술은 입원하지 않고 받을 수 있지만 용종이 많고 절제하기가 어려우면 입원해야 하는 일도 있다. 용종을 전부 절제해도 재발하거나 다른 곳에 새로운 용종이 생길 수 있어 용종을 잘라낸 뒤 정기적으로 대장내시경 추적검사를 받아야 한다.

전암용종이 20년 후 대장암이 될 확률은 24% 정도다. 불행 중 다행으로 대장암은 갑자기 생기지 않는다. 대장의 정상 점막 세포가 변하면서 대장용종, 조기대장암 단계를 거쳐 진행형 대장암으로 악화한다. 선종성 용종이 대장암으로 악화하는 데는 대개 5~10년이 걸린다. 따라서 대장암이 잘 발생하는 60대 후반이 되기 전에 적어도 50세부터 대장내시경을 해 용종이 발견되면 제거해야 한다. 가족력이 있는 사람은 선종 발생 위험이 커 40세에 대장내시경을 시작하는 게 좋다. 대변에 혈액이 섞였는지 확인하는 대변잠혈검사를 매년 시행해도 대장암을 조기에 발견할 수 있다.

용종을 예방하려면 위험인자를 피해야 한다. 육류나 기름진 음식을 줄이고 섬유소가 풍부한 곡류나 과일, 해조류 등을 충분히 섭취한다.

■도움말 변정식 서울아산병원 소화기내과 교수
2016-12-26 23면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