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현대차그룹이 한국경제의 3분의1 차지

삼성·현대차그룹이 한국경제의 3분의1 차지

입력 2014-01-13 00:00
업데이트 2014-01-13 15: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GDP 35%, 법인세 21%, 시가총액 37% 비중 ’쏠림’ 심각

삼성그룹과 현대자동차그룹의 매출이 국내총생산(GDP)의 3분의 1 규모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모든 법인세 세수의 21%를 두 그룹이 부담하고 증시 시가총액의 37%를 차지하는 등 쏠림현상이 심각해졌다.

서울 서초구 서초동 삼성그룹 사옥
서울 서초구 서초동 삼성그룹 사옥
이미지 확대
서울 양재동 현대차 사옥 앞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서울 양재동 현대차 사옥 앞
도준석기자 pado@seoul.co.kr
13일 기업경영성과 평가기관인 CEO스코어에 따르면 2008∼2012년 5년간 한국의 각종 경제지표에서 삼성과 현대차그룹이 차지하는 비중을 조사한 결과 2012년 GDP(1조2천724억달러)에 대비한 양대 그룹의 매출 비율은 35.0%에 달했다.

삼성이 23.0%, 현대차가 12.0%에 이른다.

이들 두 그룹과 거래하는 수많은 협력업체들의 매출까지 고려하면 그 수치는 더 높아진다.

국가내 부가가치의 합인 GDP와 기업의 총판매액을 뜻하는 매출액은 개념이 달라 단순 비교할 수 있는 대상은 아니지만 특정 경제시스템의 규모를 보여주려는 용도로 비교하기도 한다.

GDP와 두 그룹 매출의 대비율은 2008년 23.1%에 비해 11.9%포인트나 높아진 수준이다. 삼성이 15.9%에서 23.0%, 현대차가 7.2%에서 12.0%로 각각 7.1%포인트, 4.8%포인트 상승했다.

이와 함께 2012년 기준 국내 48만2천574개 전체 법인의 손익계산서상 계상된 법인세 비용에서도 삼성과 현대차 양대 그룹이 차지하는 비중은 20.6%에 달했다.

2012년 전체 법인세비용이 47조3천억원이었는데 두 그룹이 9조7천억원(삼성 6조6천억원, 현대차 3조1천억원)을 부담했다.

2008년과 비교하면 전체 법인세는 41조5천억원에서 13.9% 증가에 그친 반면 두 그룹의 법인세는 2조9천억원에서 232%나 늘었다.

증시에서의 비중은 더 막강하다.

두 그룹의 상장 계열사는 27개로 작년 9월말 기준 코스피와 코스닥시장 상장기업 1천741개사의 1.6%에 불과하지만 전체 시가총액에서 두 그룹 상장사가 차지하는 비중은 36.5%에 달했다.

삼성전자, 삼성화재, 삼성중공업, 삼성물산 등 삼성그룹 17개 상장사의 시가총액은 지난해 9월말 297조6천억원으로 전체 시총 1천254조3천억원의 25.8%를 차지했다.

현대자동차, 현대모비스, 기아자동차 등 현대차그룹 10개 상장사는 140조원으로 10.7% 비중이었다.

두 그룹의 시가총액은 2008년 말 134조1천억원에서 지난해 9월말 437조6천억원으로 226%나 늘었고, 비중은 21.9%에서 14.6%포인트 높아졌다. 금액으로는 삼성이 186조4천억원(168%), 현대차가 117조2천억원(512%) 증가했다.

같은 기간 국내 증시 규모가 612조원에서 1천254조3천억원으로 105% 커지고 두 그룹을 뺀 나머지 상장사 시가총액이 477조9천억원에서 816조6천억원으로 70.9% 증가한 것과 대비된다.

국내 기업의 경영지표에서도 두 그룹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대적이다.

2012년 국내 전체 법인이 거둔 매출 4천212조원 중 11.3%인 476조8천억원을 두 그룹이 올렸다. 영업이익은 192조1천억원 중 34조5천억원(22.4%), 당기순이익은 122조9천억원 중 42조9천억원(34.9%)으로 양대 그룹의 편중도가 더욱 심하다.

5년 전과 견줘 영업이익은 11.2%에서 갑절로 늘어났고, 당기순이익은 9.6%에서 25.3%포인트나 뛰어올랐다.

두 그룹을 제외한 나머지 기업들은 장기간의 경기침체로 수익성이 계속 악화됐다는 의미다.

실제 삼성과 현대차그룹을 제외하면 국내 전체 법인의 영업이익은 2008년 136조8천억원에서 2012년 149조원으로 9% 증가하는데 그친다.

같은 기간 당기순이익은 107조원에서 80조원으로 되레 25.2%나 감소한다.

재계 관계자는 “두 그룹 중심의 쏠림현상이 갈수록 심해져 경제 양극화는 물론 경제지표의 착시현상을 불러일으키고 있다”며 “삼성의 주력상품인 스마트폰의 글로벌 판매에 제동이 걸리거나 엔저 등 환율 악재로 자동차 판매 성장세가 꺾일 경우 우리 경제가 입는 타격은 그만큼 더 클 수밖에 없다”고 말했다.

이런 쏠림현상은 두 그룹의 대표기업인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연결기준)만 따져도 크게 달라지지 않는다.

GDP 대비 삼성전자와 현대차 2개사의 비중이 2012년 각각 14.8%와 6.2%로 총 21.0%에 달한다. 지난해 3분기에는 비중이 22.5%로 더욱 높아졌다.

법인세비용 부담도 2개 기업 비중이 12.8%와 5.4%로, 도합 18.2%를 차지한다. 삼성전자 단일 기업이 부담하는 법인세만 3조3천억원이며, 종속회사를 합칠 경우 6조원에 이른다.

삼성전자와 현대자동차가 국내법인 전체 영업이익과 당기순이익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각각 19.5%, 26.8%로 극단적 쏠림 현상을 보이고 있다.

◇ 삼성·현대자동차그룹 경제 편중도 추이

(단위 : 100만달러(GDP), 10억원)

┌──────┬──────┬──────┬──────┬──────┐

│ 비교 지표 │ 구분 │ 2012 │ 2008 │08∼12 증감 │

├──────┼──────┼──────┼──────┼──────┤

│ GDP │ 국내총생산 │ 1,272,459 │ 1,026,452 │ 24.0% │

│ ├──────┼──────┼──────┼──────┤

│ │ 삼성 │ 23.0% │ 15.9% │ 7.1%p │

│ ├──────┼──────┼──────┼──────┤

│ │ 현대차 │ 12.0% │ 7.2% │ 4.8%p │

│ ├──────┼──────┼──────┼──────┤

│ │ 양대 그룹 │ 35.0% │ 23.1% │ 11.9%p │

├──────┼──────┼──────┼──────┼──────┤

│ 법인세 │전체 법인세 │ 47,316 │ 41,542 │ 13.9% │

│ │ 비용 │ │ │ │

│ ├──────┼──────┼──────┼──────┤

│ │ 삼성 │ 14.0% │ 4.9% │ 9.1%p │

│ ├──────┼──────┼──────┼──────┤

│ │ 현대차 │ 6.5% │ 2.2% │ 4.3%p │

│ ├──────┼──────┼──────┼──────┤

│ │ 양대 그룹 │ 20.6% │ 7.1% │ 13.5%p │

├──────┼──────┼──────┼──────┼──────┤

│ 시가총액 │ 시가총액 │ 1,230,448 │ 611,991 │ 101.1% │

│ ├──────┼──────┼──────┼──────┤

│ │ 삼성 │ 25.8% │ 18.2% │ 7.7%p │

│ ├──────┼──────┼──────┼──────┤

│ │ 현대차 │ 10.7% │ 3.7% │ 7.0%p │

│ ├──────┼──────┼──────┼──────┤

│ │ 양대 그룹 │ 36.5% │ 21.9% │ 14.6%p │

├──────┼──────┼──────┼──────┼──────┤

│ 수익성 │법인전체 영 │ 192,101 │ 154,156 │ 24.6% │

│ │ 업이익 │ │ │ │

│ ├──────┼──────┼──────┼──────┤

│ │ 삼성 │ 15.7% │ 7.8% │ 7.9%p │

│ ├──────┼──────┼──────┼──────┤

│ │ 현대차 │ 6.7% │ 3.4% │ 3.3%p │

│ ├──────┼──────┼──────┼──────┤

│ │ 양대 그룹 │ 22.4% │ 11.2% │ 11.2%p │

│ ├──────┼──────┼──────┼──────┤

│ │법인전체 당 │ 122,894 │ 118,377 │ 3.8% │

│ │ 기순이익 │ │ │ │

│ ├──────┼──────┼──────┼──────┤

│ │ 삼성 │ 24.1% │ 8.0% │ 16.1%p │

│ ├──────┼──────┼──────┼──────┤

│ │ 현대차 │ 10.9% │ 1.7% │ 9.2%p │

│ ├──────┼──────┼──────┼──────┤

│ │ 양대 그룹 │ 34.9% │ 9.6% │ 25.3%p │

└──────┴──────┴──────┴──────┴──────┘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