담뱃값 뺀 소비자물가 2개월째 마이너스…디플레 우려

담뱃값 뺀 소비자물가 2개월째 마이너스…디플레 우려

입력 2015-04-01 08:13
업데이트 2015-04-01 11:0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3월 물가 작년 동기比 0.4%↑…근원물가 2.1%↑ “공급 측 하방 요인 작용”

지난 3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4개월 연속 0%대를 기록했다.

담뱃값 인상 효과를 빼면 물가상승률이 두 달째 마이너스로 나타난 셈이라 디플레이션(Deflation) 우려도 이어지고 있다.

통계청이 1일 발표한 3월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소비자물가는 작년 같은 달보다 0.4% 오르는 데 그쳤다.

담뱃값을 2천 원 올린 데 따른 물가 인상 효과(0.58%포인트)를 제외하면 사실상 -0.2% 수준(0.4%-0.58%)을 기록한 것이라는 얘기다.

작년 같은 달 대비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013년 10월 0.9%를 기록한 이후 13개월 연속 1%대를 기록하다가 지난해 12월 0.8%, 올해 1월 0.8%, 2월 0.5%로 내려왔다.

이런 상승률은 0.3%를 기록한 1999년 7월 이래 15년8개월 만의 최저치다.

농산물 및 석유류를 제외한 근원물가는 1년 전보다 2.1% 올라 3개월 연속 2%대를 기록했다. 상승 폭은 1월(2.4%), 2월(2.3%)에 비해 축소됐다. 지난해 9∼12월 4개월 연속 1%대에 비해서는 소폭 확대된 모습이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기준 근원물가인 식료품·에너지제외지수는 1년 전보다 2.3% 상승했다. 이 지표 역시 지난해 9∼12월에는 4개월 연속 1%대였다.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 같은 달보다 0.8% 떨어졌고 신선식품지수도 2.0% 내려갔다.

품목 성질별로 보면 상품은 1년 전보다 1.2%, 한 달 전보다 0.3% 각각 하락했다.

상품 중 농축수산물은 1년 전보다 0.8% 내렸다. 국산쇠고기(6.4%), 파(25.0%) 등은 올랐으나 돼지고기(-4.3%), 토마토(-14.5%), 귤(-13.9%) 등이 내린 영향이다.

공업제품은 작년 같은 달보다 0.5% 하락했는데, 휘발유(-19.7%), 경유(-21.5%) 등 국제적인 저유가 영향을 받은 유류 제품이 하락세를 주도했다.

인상된 담뱃값이 물가 하락 폭을 줄였다. 국산담배는 83.7%, 수입담배는 66.7% 각각 올랐다. 담뱃값 인상분은 전체적으로 물가상승률을 0.58%포인트가량 올린 효과를 낸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달부터 도시가스(-14.0%) 가격이 인하된 영향으로 전기·수도·가스는 1년 전 같은 달보다 6.0% 떨어졌다.

서비스는 작년 같은 달보다 1.6%, 전달보다 0.3% 각각 올랐다.

공공서비스는 1년 전보다 0.6% 상승했고 개인서비스도 작년 같은 달보다 1.9% 올랐다.

전세(3.2%)와 월세(0.3%)가 일제히 올라 집세도 1년 전보다 2.3% 상승했다.

김재훈 기획재정부 물가정책과장은 “농산물·석유류·도시가스 가격의 하향 안정세 등 공급 측 하방 요인이 작용해 물가상승률이 0.4%에 머물렀다”고 분석했다.

그는 “앞으로 공급 측 요인은 전반적으로 안정된 가운데 기상여건과 지정학적 요인에 따른 변동이 있을 수 있다”며 “수요 측은 실물경제 회복세가 점차 강화되면서 상승 압력이 예상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