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 31.5% 비만인데…3명중 1명은 살뺄 시도도 안해

성인 31.5% 비만인데…3명중 1명은 살뺄 시도도 안해

입력 2016-01-11 07:10
업데이트 2016-01-11 07:1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복지부, 건강통계 발표…성인 비만자 85%만 “뚱뚱하다” 생각

여성, 나이 많고 소득 낮을수록 비만 확률 높아

우리나라 성인 10명 중 3명은 비만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의 유병률이 이렇게 높지만 비만인 사람 3명 중 1명은 체중을 줄일 시도도 하지 않고 있었다.

11일 보건복지부와 질병관리본부의 ‘2014 국민건강통계’를 보면 2014년도 국민건강영양조사(조사 대상 5천632명)를 토대로 분석한 결과 만 19세 이상 성인의 비만 유병률은 31.5%로 집계됐다.

비만은 몸무게를 키의 제곱으로 나눈 체질량 지수(BMI) 가 25 ㎏/㎡이상인 경우에 해당한다.

하지만 2013~2014년 국민건강영양조사 결과를 통합해 살펴본 결과, 비만인 사람 중 최근 1년간 본인의 의지로 체중을 줄이려고 노력했던 사람(체중 감소 시도율)은 63.5%에 그쳤다. 나머지 36.5%는 체중 감소 시도도 하지 않은 것이다.

체중 감소 시도율은 여성이 71.0%로 남성(60.0%)보다 훨씬 높았다.

특히 19~29세(73.4%), 30대(80.1%) 등 젊은 여성의 비만 관리 노력이 두드러졌지만, 30대(56.9%)와 60대(59.9%) 남성은 상대적으로 체중 감소 시도를 가장 게을리 했다.

비만인데도 체중을 줄일 시도를 하지 않은 것에는 스스로의 상태에 대한 인식 부족도 이유 중 하나로 분석된다.

비만인 사람 중 스스로 ‘약간 비만’이거나 ‘매우 비만’이라고 여기는 사람의 비율인 ‘주관적 비만 인지율’은 85.4%로, 7명 중 1명 꼴인 14.6%는 비만인데도 자신이 정상 체중이라고 생각하고 있었다.

한편, 2014년 비만 유병률을 성별, 소득별로 살펴보면 나이가 많거나 소득이 낮은 여성일수록 비만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비만 확률은 여성(25.3%)보다 남성(37.7%)에게서 더 높았지만 고령 여성의 경우 비만 유병률은 남성과 비슷하거나 더 높았다.

60대 여성의 비만 유병률은 36.6%로 남성(36.9%)과 비슷한 수준이었으며 70대 이상에서는 37.3%로 오히려 남성(24.0%)보다 높았다.

남녀 모두 소득이 낮을수록 비만 유병률이 높은 편이었는데, 이 같은 경향은 남성보다 여성에게서 더 뚜렷했다.

여성의 경우 소득 하위 26.6%, 중하위 25.3%, 중상위 23.4%, 상위 18.3% 등으로 소득 수준과 비만 유병률이 정확히 반비례 관계였지만, 남성의 비만 유병률은 소득 중하위가 43.2%로 가장 높았고 하위(38.2%), 중상(35.8%), 상(34.1%) 순이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