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 지역 소멸 예고한 지방대 무더기 정시 미달 사태

[사설] 지역 소멸 예고한 지방대 무더기 정시 미달 사태

입력 2023-01-04 20:22
업데이트 2023-01-05 01:1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2023년도 대입 정시 모집에서 사실상 미달로 볼 수 있는 경쟁률 3대 1 미만의 지방대가 속출했다. 사진은 지난해 11월 치러진 대입 수능시험장. 서울신문 라이브러리.
2023년도 대입 정시 모집에서 사실상 미달로 볼 수 있는 경쟁률 3대 1 미만의 지방대가 속출했다. 사진은 지난해 11월 치러진 대입 수능시험장. 서울신문 라이브러리.
2023학년도 대학입시 정시 모집에서 경쟁률 3대1이 되지 않는 곳이 전체 188개 대학 가운데 65곳이었던 것으로 집계됐다. 한 응시생이 3개 대학까지 입학지원서를 낼 수 있는 정시모집에선 경쟁률이 3대1이 되지 않으면 ‘사실상 미달’로 간주된다. 3대1이 안 된 대학 65곳 중 59곳(86.8%)이 지방대였다. 지난해 지방대의 사실상 정시 미달 비중(83.1%)보다 3% 포인트가량 높아졌다.

정시 모집에서 사실상 미달이 늘어나는 것은 학생수 감소가 가장 큰 요인이다. 하지만 수도권에서 멀수록 경쟁률이 낮아지고 가까울수록 경쟁률이 높아지는 현상을 보면 학생들의 지방대 기피가 근저에 자리하고 있다고도 볼 수 있다. 지난 2일 종로학원이 전국 216개 대학의 수시 미등록 현황을 분석한 데 따르면 지방권과 서울권의 격차는 더욱 벌어졌다. 미등록자 비율은 서울이 3.0%였으나 지방권은 18.6%로 15.6% 포인트나 차이 난다. 2017학년도 6.3% 포인트이던 격차는 코로나가 한창이던 2021년 14.2%로 뛰어올라 상승세다. 일부 지방대들은 지원을 유도하기 위해 ‘합격자 100만원 장학금’이나 아이패드 구입비용 지원 등을 내걸었으나 효과를 못 봤다.

문제는 국립대 등 지역 거점대들조차도 휘청거린다는 점이다. 최근에 논란이 된 반도체학과 증설에서 지방대가 소외되는 정책이라면 지방대 살리기는 요원하다. 지방 소멸이 화두가 된 시대다. 지방 소멸은 국가경쟁력의 약화로 이어진다. 처방은 쉽지 않다. 우선 대학에 가해진 각종 규제를 완화해 대학의 자율적 운영에 숨통을 틔워 줘야 한다. 학령인구 감소를 반영한 지방대 구조조정 작업은 차질없이 진행하되 양질의 지방대를 적극 육성해 지역 인재를 키워 나가는 ‘선택과 집중’이 절실하다.

2023-01-05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