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길섶에서] 60세 계묘년생/임창용 논설위원

[길섶에서] 60세 계묘년생/임창용 논설위원

임창용 기자
임창용 기자
입력 2023-01-02 20:24
업데이트 2023-01-02 23:5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길섶에서
길섶에서
단톡방에 ‘토끼’들이 그득하다. 새해 전날부터 첫날까지 이런저런 단톡방마다 새해 인사에 마스코트처럼 붙여진 토끼들. 각기 다른 사진과 이모티콘을 들여다보며 ‘토끼 이미지가 이렇게 다양할 수도 있구나’란 생각이 든다. 저마다 품는 기대가 다른 만큼 선택하는 토끼 이미지도 다른 게 자연스러울 수도 있겠다. 재미 삼아 인터넷에서 운세를 찾아보니 토끼띠 운세가 상서롭다는 내용이 많다. 귀인이 등장하고, 재물운이 늘고, 사람을 얻고 등등.

1963년 계묘생인 내게 계묘년 소회는 남다른 듯싶다. 한 해 100만여명이 태어나 ‘덮어 놓고 낳다 보면 거지꼴 못 면한다’던 산아제한 표어가 나온 해. 지난해 출생 아기가 25만명대인 점을 생각하면 격세지감이다. 눈부신 경제 발전과 함께 계묘생들은 ‘거지꼴’이 아닌 산업의 중추 역할을 해냈다. 올해 수십만명의 계묘생들이 법정 정년을 채우고 직장을 나선다. 지난 30년과는 다른 제2의 출발을 하는 이들에게 토끼해의 상서로움이 가득하기를.

임창용 논설위원
2023-01-03 27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