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주불교계 진상규명과 명예회복 바라”…조계종 제주 4·3 추모재 봉행

“제주불교계 진상규명과 명예회복 바라”…조계종 제주 4·3 추모재 봉행

손원천 기자
손원천 기자
입력 2024-04-02 10:22
업데이트 2024-04-02 10: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조계종 사회노동위 위원장 지몽스님. 연합뉴스.
조계종 사회노동위 위원장 지몽스님. 연합뉴스.
조계종 사회노동위원회(사노위)가 3일 오후 1시 서울 서대문 독립공원에 마련된 ‘4·3 76주년 추모 공간’에서 ‘제주 4·3 76주년 추모재’를 봉행한다. 제주 4·3 사건은 1948년 해방 직후 7년 7개월 동안 이어진 좌·우 이념 대립으로 무고한 제주 시민 수만 명이 목숨을 잃은 사건이다. 불교계의 피해도 심각했다. 조계종 사노위에 따르면 당시 기록에 남아있는 제주 내 90여 개의 사찰 중 35개의 사찰이 전소 또는 폐허가 되는 치명적인 피해를 입었다. 사노위는 “관음사, 백화사, 불탑사, 법화사 등의 사찰이 대피해 온 주민들을 지키려다 화를 당했고, 제주불교를 주도적으로 이끌던 스님 15명이 총살, 수장, 고문 후유증 등으로 참혹하게 희생되면서 종교 활동이 중단되는 지경에 이르렀다”고 주장했다.

조계종 사노위는 4·3 피해 사찰 현장을 찾아 희생자들의 극락왕생을 발원하는 추모재를 봉행해왔다. 사노위는 올해 추모재에서 ‘제주 4·3 특별법’ 개정을 촉구할 예정이다. 사노위 위원장인 지몽스님은 “특별법은 2000년 제정된 이후 여러 차례 개정됐지만, 피해자 신원 확인을 비롯해 진상규명, 명예 회복 등 여전히 미흡한 부분이 많다”며 “특히 스님들의 경우에는 후손이 없는 경우가 많아, 진상규명이 더욱 미미하게 이뤄지고 있는 실정”이라고 지적했다.

조계종 사노위 측은 “3만여 피해자들을 비롯해 부처님의 자비와 평화 사상 실천으로 희생되신 스님들과 제주 불교계에 대한 진상규명과 명예 회복이 반드시 이뤄지길 바란다”며 “사노위는 희생된 스님들의 숭고한 뜻을 받들어, 제주도의 평화를 넘어 남과 북, 그리고 전 세계의 평화를 염원할 것”이라고 전했다.

손원천 선임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