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주 사드 기지 접근했던 소형 드론, 미군이 교란 장비로 추락시켰다

성주 사드 기지 접근했던 소형 드론, 미군이 교란 장비로 추락시켰다

강국진 기자
강국진 기자
입력 2023-01-18 15:55
업데이트 2023-01-18 16:0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이미지 확대
성주 사드기지 인근 드론 수색 재개
성주 사드기지 인근 드론 수색 재개 18일 오전 경북 김천시 농소면 한 야산에서 경북경찰청 기동대가 전날 오후 성주 사드기지 외곽에서 발견돼 전파교란장비를 활용한 대응작전에 의해 추락한 비행체(드론) 수색을 재개하고 있다.
김천 뉴스1
경북 성주군에 있는 사드(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기지에 접근했던 드론(무인기)을 추락시킨 건 주한미군이 보유한 무인기 전파교란장비, 이른바 재밍 건이었던 것으로 드러났다. 군과 경찰은 이틀째 드론의 행방을 추적하고 있다.

18일 육군 등에 따르면 전날 오후 12시 54분쯤 사드 기지에서 경계근무를 하던 주한미군 장병이 민간 상용 드론으로 추정되는 비행물체가 낮은 고도로 접근하는 것을 발견했다. 미군 장병은 재밍 건으로 대응했고, 전파 교란을 받은 드론은 급격히 고도가 떨어지며 시야에서 사라졌다.

재밍 건으로 추락시킨 드론은 프로펠러 4개가 달렸으며, 크기가 1m가 안되는 소형이어서 민간 상용 드론으로 추정된다. 이런 드론은 근거리에서 사람이 원격 장치로 조종한다. 지금까지 북한이 보낸 정찰용 무인기는 2~3m 크기였고, 원격 조종이 아니라 위성항법시스템(GPS) 신호를 받아 사전 입력된 경로를 비행하는 방식이었다. 군에서는 이 때문에 이 비행체가 북한에서 내려왔을 가능성은 낮은 것으로 보고 있다.

군과 경찰은 260여명을 투입해 성주군 초전면과 김천시 농소면 등 추락 추정 지점을 수색하고 있지만 아직 기체를 찾지 못한 상태다. 군 관계자는 “전파 교란을 받은 뒤 일시적으로 방향을 잃었다가 다시 날아갔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고 말했다. 경찰은 누가 드론을 사드 기지 쪽으로 날렸는지 조사하고 있다.

사드 기지 주변은 반경 2해리(3.7㎞), 고도 500피트(약 152m) 공역을 비행금지 구역으로 설정하는 등 드론 비행을 엄격히 금지하고 있다. 다만 이날 사드 기지에 근접한 드론이 비행금지 구역에 진입했는지는 확인되지 않았다.

강국진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