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산 이어 울산 찾은 文 “이번 총선, 대한민국 운명 좌우”

부산 이어 울산 찾은 文 “이번 총선, 대한민국 운명 좌우”

최재헌 기자
최재헌 기자
입력 2024-04-02 15:24
업데이트 2024-04-02 15:5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산서 “70 평생 이렇게 못하는 정부 처음 봐” 비판

이미지 확대
2일 오전 울산 동구 성세빈 선생 생가를 찾은 문재인 전 대통령과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성 선생 친손자 성낙진씨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 2024.4.2 연합뉴스
2일 오전 울산 동구 성세빈 선생 생가를 찾은 문재인 전 대통령과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후보가 성 선생 친손자 성낙진씨와 대화를 나누고 있다. 2024.4.2 연합뉴스
문재인 전 대통령이 2일 울산을 찾아 오는 4·10 총선에서 울산 동구 더불어민주당 후보로 나선 김태선 전 청와대 행정관을 응원했다.

문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11시쯤 김정숙 여사와 함께 울산 동구 보성학교 전시관에 모습을 드러냈다.

울산 방문 이유를 묻는 기자들의 질문에 문 전 대통령은 “이번 총선은 대한민국의 운명을 좌우하는 너무나 중요한 선거”라며 “특별한 연고가 있는 지역이나 후보를 찾아 조용히 응원을 보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문 전 대통령은 김 후보에 대해 “지난 정부 청와대에서 함께 일했던 동료”라며 “문재인 정부가 무너진 조선 산업을 되살렸듯이 김 후보는 무너진 민생을 다시 살려낼 수 있는 후보라고 생각한다. 그의 당선을 기원하는 마음으로 이곳을 찾았다”고 말했다.

김 후보는 이날 소셜미디어(SNS)에 “‘달님’(문 전 대통령) 옵니다. 붑니다 바람”이라고 적고 문 전 대통령의 지역 방문을 홍보했다.
이미지 확대
문재인 전 대통령의 울산 방문을 페이스북에 올린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후보. 김태선 SNS
문재인 전 대통령의 울산 방문을 페이스북에 올린 김태선 더불어민주당 후보. 김태선 SNS


문 전 대통령은 전날에 부산 사상구를 깜짝 방문해 배재정 민주당 후보를 격려했다.

문 전 대통령은 이날 오전 11시쯤 부산 사상구 괘법동에 있는 낙동강 벚꽃길에 파란색 상의와 청바지 차림으로 나타나 배 후보와 함께 벚꽃길을 걸으며 유권자들을 만났다.

문 대통령은 약 1시간 30분 동안 벚꽃길을 걸으며 “배재정 후보를 도우러 왔다”면서 유권자들에게 지지를 호소했다.

이 자리에서 문 전 대통령은 “칠십 평생에 이렇게 못하는 정부는 처음 본다. 민주당과 야당이 좋은 성적을 거둬 이 정부가 정신을 차리도록 해줘야 한다”고 말하기도 했다.

이 발언을 두고 한동훈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은 2일 천안 지역 유세에서 “우리의 기억력을 우습게 보는 것 같다. 문재인 정부 당시 나라가 망해가던 것 기억 안 나나. 부동산이 폭등하고 정말 살기 힘들었던 것 기억하지 않나”라고 비판했다.
이미지 확대
1일 더불어민주당 배재정 후보를 격려하기 위해 부산 사상구를 깜짝 방문한 문재인 전 대통령이 배 후보와 괘법동에 있는 낙동강 벚꽃길에서 시민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2024.4.2 연합뉴스
1일 더불어민주당 배재정 후보를 격려하기 위해 부산 사상구를 깜짝 방문한 문재인 전 대통령이 배 후보와 괘법동에 있는 낙동강 벚꽃길에서 시민들과 인사를 나누고 있다. 2024.4.2 연합뉴스
문 전 대통령이 야권의 ‘험지’로 꼽히는 PK(부산·경남) 지원 유세에 직접 나선 것은 최근 이 지역에서 ‘정권 심판론’ 바람이 불면서 국민의힘과 민주당의 지지율 격차가 계속해서 좁혀지고 있기 때문으로 보인다.

한국갤럽이 전국 만 18세 이상 1001명을 대상으로 진행한 자체 조사(95% 신뢰수준에 표본오차 ±3.1%포인트·전화 면접)에 따르면, 지난 3월 2주 차 정당 지지도에서 국민의힘 48%, 민주당은 22%로 26%포인트 차이였으나 3주 차에 20%포인트로 좁혀진 뒤 4주 차에는 각각 37%, 29%로 한자리수로 격차가 줄어들었다.
최재헌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