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한사태’ 신상훈·이백순 집행유예

‘신한사태’ 신상훈·이백순 집행유예

입력 2013-01-16 00:00
업데이트 2013-01-16 16:31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일부만 유죄 인정…SD 비자금 전달 의혹은 판단 안해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30부(설범식 부장판사)는 16일 신한금융그룹 내부 비리 사태와 관련, 회삿돈을 빼돌린 혐의 등으로 기소된 신상훈(65) 전 신한지주 사장과 이백순(61) 전 신한은행장에게 각각 징역 1년6월에 집행유예 2년을 선고했다.

재판부는 신 전 사장의 여러 혐의 가운데 2억6천100만원을 횡령하고 재일교포 주주에게 2억원을 받은 부분만 유죄로 인정했다. 400억원대 부당대출 혐의와 횡령 의심을 받은 경영자문료 15억6천여만원 중 13억원에 대해서는 무죄로 판단했다.

이 전 행장에 대해서는 3억원 횡령 혐의는 무죄로 판단했고 교포 주주에게 5억원을 받은 혐의(금융지주회사법 등 위반)만 유죄로 인정됐다.

재판부는 “피고인들은 국내 유수 금융기관의 수장으로서 높은 도덕성과 준법의식이 요구되는데도 회삿돈을 빼돌리고 금융지주회사법과 은행법을 위반해 죄책이 가볍지 않다”고 판시했다.

재판부는 다만 “신 전 사장이 횡령한 돈을 개인적으로 착복하지 않은 점, 이 전 행장 역시 돈을 실제로 사용하지 않은 점 등을 고려해 형량을 정했다”고 덧붙였다.

2010년 수사 당시 사용처가 밝혀지지 않은 비자금 3억원이 이상득 전 의원에게 전달됐다는 의혹에 대해서는 재판부가 진위를 판단하지 않았다.

이로써 2010년 12월부터 2년 넘게 진행된 신한사태 1심 재판은 피고인들의 혐의 중 일부만 유죄로 인정된 채 일단락됐다.

신 전 사장은 신한은행장으로 재직하던 2006~2007년 총 438억원을 부당 대출해 회사에 손해를 끼치고 2005~2009년 고(故) 이희건 신한금융지주 명예회장에게 지급할 경영 자문료 15억6천여만원을 횡령한 혐의를 받았다. 2008~2010년 재일교포 주주 3명한테 8억6천만원을 받은 혐의도 공소사실에 포함됐다.

이 전 행장은 2008년 2월 신 전 사장이 자문료 명목으로 조성한 비자금 15억여원 가운데 3억원을 현금으로 빼돌려 쓴 혐의와 2009년 4월 재일교포 주주에게 5억원을 전달받은 혐의로 기소됐다.

검찰은 작년 12월 신 전 사장에게 징역 5년, 이 전 행정에게 징역 3년을 각각 구형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