검찰, ‘4회 소환 불응’ 허영인 SPC 회장 체포

검찰, ‘4회 소환 불응’ 허영인 SPC 회장 체포

송수연 기자
송수연 기자
입력 2024-04-02 17:45
업데이트 2024-04-02 17:45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민주노총 탈퇴 종용 관여 혐의

이미지 확대
허영인 SPC 회장. 연합뉴스
허영인 SPC 회장. 연합뉴스
‘파리바게뜨 제빵기사 노동조합 탈퇴 강요’ 의혹을 수사 중인 검찰이 2일 허영인(75) SPC 그룹 회장의 신병을 강제로 확보했다.

서울중앙지검 공공수사3부(부장 임삼빈)는 이날 허 회장에 대해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 위반 혐의로 법원에서 체포영장을 발부받아 집행했다. 검찰은 이날 오전 8시쯤 허 회장이 입원해 있던 서울 시내 한 병원에서 영장을 집행한 뒤 서울중앙지검으로 압송해 조사한 것으로 알려졌다.

허 회장은 전날을 비롯해 최근 검찰로부터 총 다섯 차례 출석을 요구받았으나 네 번은 업무 일정으로 응하지 않았다. 지난달 25일 한 차례 출석했으나 가슴 통증을 호소해 1시간 만에 조사가 종료됐다. 검찰은 허 회장이 조사에 제대로 응하지 않는 것으로 보고 체포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한 것으로 풀이된다.

허 회장은 2019년 7월~2022년 8월 자회사 PB파트너즈가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 화섬식품노조 파리바게뜨지회 조합원들을 상대로 탈퇴를 종용하고 승진 인사에서 불이익을 주는 과정에 관여한 혐의를 받는다. 검찰은 SPC 측이 검찰 수사관과 수사 정보를 거래한 사건에 대해서도 허 회장이 관여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이런 혐의와 관련 검찰은 먼저 지난달 22일 황재복(62) SPC 대표를 구속 기소했다. 검찰은 황 대표를 조사하는 과정에서 허 회장의 지시가 있었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서울신문 3월 21일자 10면>하고 허 회장을 최종 ‘윗선’으로 수사 대상을 넓혀왔다. 검찰은 이번 조사 내용과 그간의 정황 등을 고려해 허 회장에 대한 구속영장 청구도 검토할 것으로 보인다.

송수연 기자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