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루 2~3시간 근무 근로자 100만 육박

하루 2~3시간 근무 근로자 100만 육박

입력 2010-02-24 00:00
업데이트 2010-02-24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난해 취업자 수는 줄어든 반면 하루 평균 2~3시간만 근무하는 초단시간 근로자는 크게 늘어 100만명에 육박했다.

23일 통계청에 따르면 주당 1~17시간을 근무한 근로자 수는 지난해 96만 3000명으로 집계됐다. 주 5일로 나누면 길어야 하루 3시간 30분씩 일하는 꼴이다.

이러한 초단시간 근로자가 전체 근로자(취업자 2351만 6000명)에서 차지하는 비중은 4.1%로 사상 처음 4%를 넘었다. 연간 초단시간 근로자 비중은 외환위기 이후 줄곧 상승세였다. 1997년 1.60%에서 이듬해 2.36%로 크게 확대된 뒤 2001년 2.9%, 2004년 3.3% 등이었다.

특히 지난해는 2008년(3.6%)보다 0.5%포인트 가까이 늘어나 외환위기 다음으로 가장 큰 증가폭을 기록했다.

이들보다 근무시간이 길지만 주당 18~26시간(하루 평균 5시간 이하) 일한 근로자 수는 지난해 113만 1000명이었다. 1997년(55만 8000명)과 비교하면 두 배 가까이 늘었다.

반면 주당 54시간(하루 평균 10시간) 넘게 일하는 장시간 근로자는 674만 1000명으로 전체의 28.7%였다. 장시간 근로자 수는 2001년 909만명(42.1%) 이후 계속 줄어 2007년 700만명대, 2008년부터는 600만명대로 내려갔다.

정유훈 현대경제연구원 선임 연구원은 “단시간 근로자가 세대주라면 이들은 임금이 최저생계비에 못 미치는 ‘워킹푸어’(근로빈곤층)일 가능성이 크다.”면서 “하루에 채 1시간도 일하지 않는 ‘사실상 실업자’도 상당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유대근기자 dynamic@seoul.co.kr
2010-02-24 8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