삼성 신수종 사업 어디까지 왔나

삼성 신수종 사업 어디까지 왔나

입력 2010-03-26 00:00
업데이트 2010-03-26 00:36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생산)와 태양전지, 헬스케어 등 미래산업에 대한 재계의 관심이 부쩍 높아지고 있다. 전격적인 경영 복귀를 선언한 이건희 삼성전자 회장이 ‘위기론’을 제기하며 ‘10년 후의 삼성’을 언급, 이들 미래 산업에 대한 삼성전자의 본격적인 투자가 예상되기 때문이다.

이미지 확대


●21세기형 구조로 변신

25일 업계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지난 1월 차세대 ‘신수종(新樹種) 사업’으로 그린에너지와 헬스케어를 지목했다. 그린에너지는 차세대 전지와 발광다이오드(LED) 조명을, 헬스케어는 바이오기술(BT)과 정보기술(IT)이 맞물린 첨단의료기기 등을 말한다. 삼성전자는 이미 세트와 부품 위주인 정보·통신·AV를 중심으로 한 ‘인포테인먼트’ 사업 구조에서 의료·바이오, 환경·에너지, 편의·안락 등 ‘삶의 질 향상’ 영역을 새로운 사업 영역으로 추가했다. 라이프케어 사업을 중심으로 21세기형 사업구조로 변신을 꾀해 나간다는 방침이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구체적인 프로젝트는 지금까지 계속 진행되고 있었지만 몇 조원에 이르는 대규모 투자를 결정하기 위해서는 강력한 리더십이 필요했다.”면서 “이 회장의 복귀는 이들 신수종 사업 추진에 날개를 달아준 격”이라고 말했다.

이 회장의 복귀로 가장 탄력을 받을 사업은 바이오시밀러 분야. 업계에서는 국가과제의 하나로 삼성전자가 해외 유명 제약사와 조인트벤처를 설립하기 위한 조율 작업이 진행되고 있는 것으로 보고 있다. 연구인력 확보를 위해 지난달부터 국내외 업체를 대상으로 경력사원 채용을 진행하고 있다.

한 업계 관계자는 “선진국의 대형 제약사들이 장악하고 있는 바이오 신약 시장과 달리 합성 의약품의 복제약과 유사한 바이오시밀러 분야는 세계적으로 기술력이 크게 차이가 나지 않는다.”면서 “더구나 원조 신약보다 더 효과적인 의약품을 만들 수도 있어 공격적인 투자가 진행된다면 삼성전자와 같은 후발 업체도 충분히 경쟁력을 가질 수 있다.”고 말했다.

●세종시 문제 빨리 가닥 잡혀야

조만간 상업 생산에 들어갈 태양전지 사업에도 이 회장의 ‘입김’이 강하게 반영될 전망이다. 현재 삼성전자 LCD 사업부에서 30㎿급의 시험라인을 가동하고 있고, 조만간 100㎿급으로 규모를 늘려 본격적인 양산에 나설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헬스케어도 사업 추진이 더욱 빨라질 것으로 보인다. 관련 의료기기 개발은 이미 끝난 상태고 판매 등을 위해 중외제약과 업무 제휴도 완료했다.

다만 걸림돌은 세종시 문제가 아직 정리되지 못했다는 점. 지난 1월 삼성은 2015년까지 삼성전자와 삼성전기, 삼성LED, 삼성SDI, 삼성SDS 5개 회사가 세종시에 그린에너지와 헬스케어 등 신사업 분야에 2조 500억원을 투자하겠다고 밝혔다. 삼성전자 관계자는 “세종시 문제가 빨리 가닥이 잡혀야 신수종 사업 추진을 위해 세종시에 투자를 하든, 아니면 다른 대체 부지를 확보하는 등 대안을 찾을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두걸기자 douzirl@seoul.co.kr
2010-03-26 9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