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사 15~20곳 C·D등급 받을 듯

건설사 15~20곳 C·D등급 받을 듯

입력 2010-06-21 00:00
업데이트 2010-06-21 01: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부실한 부동산 프로젝트파이낸싱(PF)을 사이에 두고 위험한 동거를 해 온 건설회사와 저축은행의 운명이 이르면 이번 주에 갈릴 전망이다. 금융당국의 구체적인 액션플랜(실행계획)이 본격화하기 때문이다. 대통령까지 나서 책임추궁의 필요성을 강조한 터라 업계의 긴장 강도는 이전과는 차원이 다르다.

이미지 확대
●채권단 “엄격한 잣대… 중복심사 거듭”

금융당국 관계자는 20일 “채권은행에 의해 퇴출당할 부실 건설업체를 서둘러 지정하기로 했다.”면서 “각 채권단의 이견조율 등 절차를 거쳐 이르면 이번 주중 최종 구조조정 대상업체 명단을 확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각 채권은행은 지난 18일까지 1~2차에 걸친 건설사(시공능력 300위권 이상) 신용위험 평가를 마무리하고 결과를 금융감독원에 넘길 예정이다.

금융권 관계자는 “관치 논란 등을 고려해 최종 명단은 지난해처럼 은행연합회가 발표하는 형식을 취할 것”이라면서 “심사는 거의 끝났지만 아직 조율이 필요한 곳도 적지 않아 구조조정 대상 기업의 수는 유동적”이라고 말했다. 하지만 금융권은 C등급(워크아웃)이나 D등급(법정관리)을 받아 구조조정 대상이 될 기업은 15~20여개 수준이 될 것으로 보고 있다.

3차에 해당할 이번 구조조정 대상 발표를 앞두고 업계의 분위기는 지난해 1차(1월), 2차(3월) 때와는 사뭇 다르다. 이명박 대통령이 직접 나서 ‘건설사의 도덕적 책임’을 언급한 마당이기 때문이다. 이 대통령은 지난 17일 비상경제대책회의에서 “무책임하게 주택시장에 뛰어들어갔다가 (미분양 등으로) 많은 이들에게 부담을 준 건설사는 도덕적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부담스럽기는 평가를 하는 채권단도 마찬가지다. 한 은행 여신담당 임원은 “지난해 B등급 이상을 받은 업체 중에도 나중에 회사가 어렵다며 워크아웃이나 법정관리를 따로 신청한 곳이 적지 않았다.”면서 “이런 상황이 반복돼 부실 논란이 없도록 은행권에서도 치밀하게 검사를 거듭하고 있다.”고 말했다.

●저축은행 철저한 자구노력 수반돼야

건설사의 자금책 역할을 해오다 탈이 난 저축은행들에 대한 공적자금 투입 규모도 조만간 윤곽을 드러낼 전망이다. 공적자금관리위원회는 오는 25일 전체회의를 열고 저축은행의 부실 PF 채권을 사들이는 데 쓸 공적자금의 규모를 정할 방침이다. 공자위는 지난 14일과 18일 두 차례 위원 간담회를 열어 정부 측과 의견을 교환했다. 금융당국은 뱅크런(대규모 예금인출 사태) 등 부작용을 막기 위해 공적자금 투입이 불가피하지만 저축은행의 철저한 자구노력이 수반돼야 한다는 점에 공감대가 형성된 상태다. 업계는 저축은행 부실채권 매입에 들어갈 공적자금의 규모를 2조원대로 보고 있다.

정부는 저축은행 부실채권에 따른 대손충당금을 3년에 걸쳐 단계적으로 쌓도록 하는 반면 ▲유상증자 ▲자산매각 ▲후순위채 발행 등을 통해 자본 적정성을 높이도록 유도한다는 방침이다.

유영규·정서린기자 whoami@seoul.co.kr

2010-06-21 8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