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산보리 사라진다

국산보리 사라진다

입력 2010-07-23 00:00
업데이트 2010-07-23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생산면적 여의도의 12배 증발 수매제 폐지결정 이후 농가↓

초여름 들녘에 푸르름을 더해주던 국산보리가 외국산에 밀려 사라질 위기에 놓였다. 농부들이 잇달아 보리 농사를 포기한 탓에 최근 1년 동안 사라진 보리밭의 넓이가 서울 여의도 면적의 12배에 이른다.

이미지 확대
22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0년 보리 생산량 조사결과’에 따르면 올해 겉보리·쌀보리 생산량은 전년 대비 41.8% 감소한 8만 3715t으로 조사됐다. 맥주를 만드는 데 쓰이는 맥주보리 생산량도 51.1% 줄어든 3만 2736t으로 집계됐다.

이렇게 보리 생산량이 급감한 것은 최근 국산보리 농가에 닥친 악재와 관련이 있다. 가장 큰 원인은 2012년부터 정부가 보리수매 제도를 완전 폐지하기로 하면서 그간 보리농사를 짓던 농가들이 농사를 포기하고 있다는 점이다. 대신 밀 농사 등을 짓는데 이 때문에 2009년 4만 8616㏊였던 전체 보리(사료용 청보리 제외) 재배 면적이 올 들어 3만 8533㏊으로 1만㏊ 이상 감소했다. 한 해 동안 전국에서 여의도 면적(약 848㏊)의 약 12배에 이르는 보리밭이 사라진 셈이다. 특히 맥주보리는 외국산에 비해 가격 경쟁력이 떨어져 전체 재배면적 가운데 3분의1가량(29.0%)이 1년 사이 사라졌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올봄 저온현상과 잦은 비까지 보리밭을 덮쳤다. 잘 안 자라는 보리에 대부분 농가가 마음고생을 한 해였다. 재배면적을 기준으로 쌀보리는 80.8%, 맥주보리는 78.3%, 겉보리는 52.6%가 피해를 봤다. 단위면적(10㏊)당 생산량도 겉·쌀보리는 30.5%, 맥주보리는 31.1% 감소했다. 이런 추세라면 내년에는 보리농사를 포기하는 농가 수가 더욱 늘 것이고, 그만큼 보리밭이 사라지는 속도도 빨라질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은다.

유영규기자 whoami@seoul.co.kr

2010-07-23 15면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