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호족일까 노비일까?…부동산 계급표 등장

나는 호족일까 노비일까?…부동산 계급표 등장

입력 2011-02-12 00:00
업데이트 2011-02-12 15:49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땅값에 따라 지역 서열을 매겨놓은 ’현대판 계급표’가 등장,인터넷을 벌겋게 달구고 있다.

화제의 글은 지난 11일 디시인사이드 부동산갤러리에 올라온 ‘2011 수도권 계급표’. 지역의 땅값 순서대로 거주자의 신분계급을 매겨 ‘황족’ ‘왕족’ ‘귀족’ ‘호족’ ‘중인’ ‘평민’ ‘노비’ 등 7개 계급으로 나눴다. 그래픽까지 그려넣어 웃고 넘겨야 할지, 쓴맛을 다셔야 할지 판단하기도 쉽지않다.
이미지 확대


강남구는 3.3㎡당 3000만원 이상으로 가장 비싸 ‘황족’으로 분류됐다.이어 2200만원 이상인 경기 과천시와 송파·서초·용산구는 ‘왕족’이 됐다. 강동·양천·광진·성남시 분당구는 1700만원 이상으로 ‘중앙귀족’에, 1500만~1700만원인 중구·마포·영등포·성동·종로·동작구 등은 ‘지방호족’에 들어갔다. 이 표는 1400만원과 1500만원 사이에 ‘넘을 수 없는 4차원의 벽’을 표시해 두었다.

강서·관악·동대문·성남 수정구·성북 등은 1200만~1400만원으로 ‘중인’ 계급에, 1100만~1200만원인 노원·구로·은평·강북·중랑·고양 일산동구는 ‘평민’에 포함됐다. 이외 시군구는 ‘가축’으로 표현했다.

반응은 뜨겁다.한 네티즌은 ”내가 어느 계급에 해당하는지 찾아볼 수 있어 재미있었다. “면서 “같은 수도권이라도 얼마나 땅값의 격차가 심한지도 실감하게 됐다.”고 말했다. 또 “마음에 안 들지만 자꾸 보게 된다.”, “잘 사는 것은 아니지만 왕족이라니 기분이 나쁘지는 않다.”는 네티즌들도 있었다.

비판하는 의견도 쏟아졌다. 다른 네티즌은 “맨 마지막은 계급도 아닌 가축으로 분류해 놓았는데 평등사회에서 땅값에 따라 사람 취급도 못 받는 것을 말하는 것 같아 매우 언짢다.”면서 “사는 곳에 따라 계급이 나뉘는 세태를 보니 씁쓸하다.”고 뒷맛을 다셨다. 또 다른 네티즌은 “대학도 서열을 매기더니 이제 사는 동네까지 나누느냐.”면서 “한국사회의 고질병인 편가르기가 또 시작됐다.”고 목소리를 높였다. 이 외에도 “부동산 대책 실패가 이런 풍자까지 만들었다.”며 정부의 반성을 촉구하는 의견도 있었다.

맹수열기자 guns@seoul.co.kr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