엔화 예상밖 강세로 반전

엔화 예상밖 강세로 반전

입력 2011-03-14 00:00
업데이트 2011-03-14 01:0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엔·달러 환율은 지난 11일 오전 82.8엔에서 움직이고 있었다. 오후 2시 46분 대지진이 발생하자 엔·달러 환율은 83.29엔까지 상승했다가 12일 오전 6시에는 81.89엔으로 하락했다. 지진이 발생하자 엔화가 강세를 보인 것이다.

이미지 확대
외환시장에서 한 국가의 경제에 문제가 생기면 통화 수요가 줄어들면서 약세를 기록하는 것이 통상적이다. 하지만 일본의 경우 지진 발생 이후 엔화 강세를 보이는 기현상이 나타난 것이다. 염상훈 SK증권 애널리스트는 “일본 기업인들과 투자자들이 지진으로 인해 필요한 자금을 엔화로 환전해 송금하고 있다는 소식이 엔화 강세의 이유로 분석되고 있다.”면서 “지진 피해가 심각할 경우 와타나베 부인들의 해외 투자 자금이 회수될 것”이라고 말했다.

저금리 엔화 대출을 통해 고금리 해외 자산에 투자하는 일본 주부 외환투자자인 와타나베 부인들이 복구 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해외 자금을 엔화로 환전하고 있다는 것이다. 와타나베 부인이 흔들리면 글로벌 위험자산의 약세 현상이 심화된다. 세계 경제로서는 주요 투자자가 사라지는 만큼 달갑지 않은 소식이다. 하지만 중장기적으로 엔화가 약세로 돌아서면서 세계 금융 피해는 크지 않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1995년 1월 17일 고베 대지진 당시에도 이 같은 현상이 나타난 적이 있다. 달러당 98엔의 환율은 고베 대지진 이후 3개월가량 강세를 보이면서 80엔까지 떨어졌다. 4월 이후 환율은 102엔으로 오르면서 엔화는 약세를 겪었다. 고베 대지진 직전인 1994년 4분기에는 경제성장률이 마이너스 0.8%를 기록했지만 지진 이후 오히려 플러스 성장률(1995년 1분기 0.8%, 2분기 0.8%, 3분기 1%)을 보였다.

일본 내부의 경제 피해에 대해서 엇갈리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일본 경제의 회복세가 취약한 상태여서 지진 피해 규모에 따라 소비·투자의 불확실성이 커질 것으로 우려된다. 바클레이스는 일본 경제 피해 규모를 1000억~1500억 달러로 보고 있다.

하지만 복구 과정 등으로 단기적인 고베 대지진에서 나타났듯 경제전망은 좋아질 것이라는 주장도 없지 않다. 최근 급격한 회복세를 기록하고 있는 미국 경제도 일본 지진으로 피해보다는 오히려 건설장비 수출 분야에서 호재를 얻어 세계 경제 회복을 이끄는 데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2011-03-14 8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