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운찬 “이익공유제는 건전시장 정착 노력”

정운찬 “이익공유제는 건전시장 정착 노력”

입력 2011-05-17 00:00
업데이트 2011-05-17 08:03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정운찬 동반성장위원장은 17일 “이익공유제는 반시장적 정책이 아니라 오히려 건전한 시장을 정착시키기 위한 노력”이라고 밝혔다.

정 위원장은 명동 은행회관에서 열린 한국선진화포럼 월례토론회에서 “충분한 배경설명 없이 너무 일찍 ‘초과이익공유제’를 꺼내서 그동안 엄청나게 시달렸다”며 이같이 말했다.

‘공유’란 단어가 마치 강제적 집행을 의미하는 것으로 여겨져 반시장적 정책인 것처럼 받아들여졌다는 것이다.

정 위원장은 “이익공유제에 대한 오해로 어지간한 비판이나 오해에 익숙한 나도 상처를 받았다”면서 “그러나 동반성장은 공동체적 가치를 실현하고 지속적으로 성장하기 위한 필요조건”이라고 설명했다.

동반성장 추진은 사회의 양극화 문제 해결을 위해서도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정 위원장에 따르면 지난해 삼성·현대차·SK·LG 등 4대 그룹 전체 매출(해외 매출 포함)은 603조3천억원으로 우리나라 전체 국민총생산의 51%에 해당한다. 또 대기업 세전 순이익률은 2007년 7.9%에서 지난해 8.4%로 늘었지만 중소기업은 3.8%에서 2.9%로 떨어졌다.

정 위원장은 “대기업은 갈수록 살찌는데 중소기업은 여위고 있다”며 “이 같은 양극화는 우리 사회의 통합과 체제 안정을 위협하는 가장 큰 요인”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일각에서는 동반성장이 문제의 원인을 대기업 탓으로 돌리고 중소기업의 자조, 자립 노력을 희석시킨다고 지적하지만, 우리나라 경제시스템은 좋든 싫든 대기업 주도의 수출지향형 성장 패턴으로 굳어져 있다”고 말했다.

이 때문에 갑(甲)인 대기업과 을(乙)인 중소기업의 계약은 항상 을이 죽는다는 의미에서 ‘을사(乙死) 조약’이라는 말도 있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정 위원장은 “그래도 최근 동반성장에 비판적이던 언론과 대기업이 빠른 속도로 동반성장에 동참하고 있다”면서 “동반성장은 자원배분에서 가장 효율적이라는 시장제도를 보다 튼튼하고 내실있게 만들기 위한 처방”이라고 강조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