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금융, 안도 속 민영화 연기 우려

우리금융, 안도 속 민영화 연기 우려

입력 2011-06-14 00:00
업데이트 2011-06-14 15:22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지분 분산 매각 통한 독자 민영화 선호

유력하게 추진돼오던 산은금융지주로의 피인수가 사실상 불발에 그치면서 우리금융지주와 자회사 임직원들은 안도의 한숨을 내쉬었다.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14일 정무위원회에 출석해 “산은금융이 여러 후보 중 하나로 우리금융 입찰에 참여하는 문제에 대해 검토했지만 현 시점에선 국민적 공감대가 충분히 형성되지 않았다”며 “산은금융이 우리금융 입찰에 참여하지 않는 게 바람직하다고 입장을 정리했다”고 말했다.

이에 따라 우리금융 임직원들은 오는 29일 예정된 우리금융 민영화를 위한 인수의향서(LOI) 접수 때 다수의 인수자들이 몰리지 않아 입찰이 유찰될 것으로 확신하면서 산은금융과의 합병이 사실상 무산된 데 대해 다행스럽다는 반응이다.

우리금융 이팔성 회장과 임원들은 그러나 여전히 우려의 시선을 거두지 못하고 있다. 김 위원장이 지분매입 한도를 낮추는 금융지주회사법 시행령 개정에 대해 “계속 추진하겠다”고 밝혔기 때문이다.

이 회장은 임원들에게 “다행스럽기는 하지만 정부가 지주회사법 시행령 개정을 추진하면 우리금융 민영화는 앞으로 어떻게 되는 것이냐”며 말 끌을 흐렸다는 후문이다. 지난해 연임에 성공한 이 회장은 올해 안에 우리금융 독자 민영화를 달성하겠다는 목표를 내세운 바 있다.

우리금융 고위 관계자는 “인수의향서 접수 등 이번 우리금융 민영화를 위한 입찰은 실패할 가능성이 크다고 보지만 정부가 시행령을 개정한 뒤 민영화시기를 2~3년 연기한다면 조기 민영화는 물 건너가기 때문에 우리로서는 최악이다”라고 설명했다.

정부가 시행령을 개정해놓고 2~3년간 지주회사들이 인수자로 나설 수 있을 만큼 제반 여건이 성숙할 때까지 우리금융 민영화를 미루자고 한다면 우리금융이 원하는 조기 자체 민영화의 실현 가능성은 또 멀어질 수밖에 없다는 이유에서다.

우리금융은 자체적으로 ‘경쟁입찰에 따른 지분 분산 매각’이나 ‘대규모 블록세일(대량매매)’, ‘국민주 방식’ 등의 방안을 추진하기를 바라고 있다.

지분 분산 매각은 총매각목표 수량에 도달할 때까지 최저입찰가격 이상을 제시한 투자자들 가운데 최고가격의 입찰자부터 순차적으로 낙찰자로 정하는 방식이다.

블록세일은 사전에 예정가격과 총매각수량을 정한 뒤 예금보험공사가 제시한 동일한 예상 가격에 사겠다는 투자자들에 지분을 넘기는 형태다.

우리금융은 이미 지난해 독자민영화 방안을 추진할 때도 10조원의 투자자를 모집한 경험이 있어 이번에도 다양한 투자자들을 모을 수 있다고 자신감을 드러내고 있다.

이 방안들은 조기 민영화가 가능하고 절대 대주주 없이 소유와 경영이 분리된 투명 경영을 할 수 있다는 게 장점으로 꼽히지만 지분을 분산 매각하기 때문에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가 불가능하고 국내은행 대형화의 목적도 살리기 어렵다.

우리금융 관계자는 “우리는 조기 독자 민영화를 선호하지만 현재로서는 우리의 목소리를 낼 단계는 아니며 이번 입찰과 정부의 움직임 등을 더 지켜봐야 한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