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단계, 상위1%가 후원수당 56% 차지

다단계, 상위1%가 후원수당 56% 차지

입력 2011-07-04 00:00
업데이트 2011-07-04 08:0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상위1% :하위40%, 평균수당격차 무려 2천530배

작년 다단계업체 판매원들에게 지급된 후원수당의 56%를 상위 1% 미만 판매원이 차지하는 등 판매원들의 수당 편차가 극심한 것으로 4일 드러났다.

특히 상위 1%미만 판매원의 평균 수당은 4천308만원인 반면에 하위 40% 미만 판매원의 평균 수당은 1만7천원에 불과해 격차가 무려 2천533배에 달했다.

공정거래위원회가 이날 발표한 ‘다단계판매업자의 정보공개에 관한 고시’에 따르면 작년 90개 다단계업체의 총매출액은 2조 5천334억원으로 전년 2조 2천586억원에 비해 2천748억원(11.2%)이 증가했다.

이중 상위 10개 업체의 매출액은 1조 9천905억원으로 전체 매출액의 65.6%를 차지했으며 업계 1위인 ‘한국암웨이’가 8천546억원의 매출(전체의 33.7%)을 올렸다.

또 폐업 또는 등록취소된 23개사를 제외한 67개 업체의 작년 후원수당 지급총액은 8천94억원으로 전년(7천49억원)에비해 14.8% 증가했다.

수당을 받은 판매원 가운데 상위 1%미만의 판매원이 지급받은 후원수당은 4천541억원으로 전체 후원수당의 56.0%를 가져갔다. 즉 99%의 판매원이 남은 44%의 후원수당을 나눠 가진 것으로 후원수당의 편중이 심각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상위 1%미만 판매원의 연간 평균은 4천308만원으로 직장인 평균 연봉(2009년 2천530만원.국세청 자료)보다 훨씬 높았다. 하지만 1~6%미만 판매원은 396만원, 6~30%미만 판매원은 46만원, 30~60%미만 판매원은 7만3천원, 60~100% 판매원은 1만7천원 등에 불과했다.

상위 판매원은 아주 많은 수입을 올리지만 대부분의 판매원은 수입이 저조한 것으로, 수당지급구조가 피라미드형을 넘어서 첨탑형과 유사했다.

공정위는 “수당이 상위판매원으로 집중되는 다단계 판매의 특징에 따른 것”이라고 설명했다.

작년 12월말 기준 다단계업체 판매원수는 357만4천명으로 전년(340만명)보다 17만4천명(5.1%) 증가했으며 후원수당을 수령한 판매원은 104만9천명(29.4%)으로 전년(113만3천명)보다 8만4천명(7.4%) 감소했다.

상위 10개 업체의 1인당 평균 수당수령금액은 76만2천128원이었다.

다단계업체의 단일 품목 최대 매출 제품은 ‘한국암웨이’의 영양제 ‘더블엑스 종합비타민 무기질 리필’로 작년 한해동안 988억5천만원어치가 팔렸다.

공정위는 “다단계판매 시장규모는 2007년 이후 완만하게 안정적으로 성장하는 추세로 매출액 대비 후원수당 지급비율 및 판매원수도 증가하고 있으나 후원수당의 상위판매원 편중현상은 여전하다”고 밝혔다.

공정위는 또 “일부업체들의 경우 후원수당을 법정한도(35%)이상으로 과도하게 지급하거나 소비자피해보상보험 가입의무 미준수 등 시장질서를 교란하는 움직임이 나타나고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공정위는 “하계방학을 맞아 청년층 실업을 틈탄 대학생 등 취약계층에 대한 불법 다단계, 유사 다단계 및 신종 다단계업체 등을 대상으로 조사를 시행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특히 공정위는 유령판매 조장행위, 사재기 등 판매원에 대한 과도한 부담 부과행위, 제품 원가에 비해 과도한 소비자가(법상 한도 10배) 책정행위, 판매원의 열악한 상황을 이용하는 각종 거래상 지위 남용행위 등 위법사항 적발 시 엄중제재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