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샤테크’ 하러 프랑스로 휴가가요”

“‘샤테크’ 하러 프랑스로 휴가가요”

입력 2011-08-05 00:00
업데이트 2011-08-05 07:37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국내와 차액 200만원…”현지가서 사면 비행기값 빠져요”

본격적인 여름휴가 시즌을 맞아 명품을 좋아하는 젊은 여성들 사이에 ‘샤테크’(샤넬백을 이용한 재테크란 의미의 신조어) 차원의 프랑스 휴가가 러시를 이루고 있다.
이미지 확대
샤넬
샤넬


에르메스와 샤넬 등 주요 명품 가방의 경우 프랑스 현지와 국내의 가격차가 200만~300만원에 달해 여름휴가를 겸해 현지에 가 쇼핑을 하면 100만~150만원에 달하는 비행기값을 뽑고도 남기 때문이다.

5일 업계에 따르면 외국계 증권사에 다니는 회사원 김여진(32.여)씨는 최근 친한 친구들과 함께 프랑스 파리로 여름휴가를 다녀왔다.

이른바 ‘샤테크’를 겸한 휴가였다.

’샤넬 마니아’인 김 씨는 파리 시내 라파예트 백화점 매장에서 샤넬의 대표적 상품인 클래식 캐비어 미디엄 사이즈 핸드백을 2천450유로(약 372만원)에 샀다.

국내 매장에서는 579만원에 팔리는 상품이다.

김 씨는 간 김에 모친 선물용으로 클래식 캐비어 점보 사이즈(2천550유로)도 하나 사고 싶었으나 파리 시내 전 매장에서 품절이어서 아쉬움을 참아야 했다.

김 씨와 함께 간 친구는 에르메스의 베스트셀러 상품인 버킨25 핸드백을 6천200유로(약 942만원)에 구매했다.

국내에서는 1천199만원에 판매되는 상품이어서 차액이 257만원이나 됐다.

여기에 현지에서 약 10% 가량의 세금 환급까지 받게 되면 국내와의 차액은 350만원으로 벌어진다.

더욱이 이 상품은 국내에서는 사고 싶어도 바로 구입할 수가 없고 주문을 한 뒤 몇개월씩 기다려야 살 수 있는 상황이다.

김 씨는 “프랑스 현지에 가서 샤넬이나 에르메스 가방을 구입하면 국내보다 200만원 이상 싸기 때문에 비행기값을 뽑고도 남는다”며 “요즘 젊은 여성들 사이에 ‘샤테크’를 겸해 프랑스 현지로 여름휴가를 다녀오는 경우가 많다”고 말했다.

심지어 일부 인기 품목의 경우 여름휴가철을 맞아 워낙 많이 밀려드는 한국·중국·일본의 ‘명품 쇼핑족’들 때문에 프랑스 현지 매장에서 조기 품절되는 경우가 많은 것으로 전해졌다.

업계 전문가들은 유럽 명품 브랜드들이 ‘비쌀수록 잘 팔리는’ 국내 사치품 시장의 속성을 악용해 터무니없는 고가 마케팅 정책을 고수하다보니 이같은 기형적 현상이 빚어지는 것으로 분석했다.

한 백화점 관계자는 “지난 4월 샤넬이 상당수 제품 가격을 평균 25% 인상하면서 ‘본사 차원의 세계적인 가격정책의 일환’이라고 설명했으나 프랑스 현지와 200만원 이상 가격차가 나는 것을 보면 과연 그런 것인지 의구심이 든다”며 “국내 소비자들의 현명한 대처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공무원 인기 시들해진 까닭은? 
한때 ‘신의 직장’이라는 말까지 나왔던 공무원의 인기가 식어가고 있습니다. 올해 9급 공채 경쟁률은 21.8대1로 32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했습니다. 공무원 인기가 하락한 이유는 무엇일까요?
낮은 임금
경직된 조직 문화
민원인 횡포
높은 업무 강도
미흡한 성과 보상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