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산부 금기약물 처방 2년간 3만건”

“임산부 금기약물 처방 2년간 3만건”

입력 2011-09-11 00:00
업데이트 2011-09-11 12:4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최영희 의원 공개…연령 금기 약품 처방도 5만1천건

태아에 기형을 유발하거나 임산부의 건강에 악영향을 끼칠 수 있는 ‘임부 금기’ 의약품이 무더기로 처방된 것으로 나타났다.

국회 보건복지위원회 소속 민주당 최영희 의원은 건강보험심사평가원이 제출한 ‘임부·연령·병용 금기 처방’ 자료를 분석한 결과 지난 2009년 4월부터 지난 3월까지 2년간 임산부에게 임부 금기 의약품이 처방된 사례가 2만9천542건에 달했다고 11일 밝혔다.

또 영유아들이 복용했을 때 안전성이 입증되지 않은 연령 금기 의약품이 아동에게 처방된 경우는 5만1천43건, 병용 금기 의약품이 혼합 처방된 경우도 4만363건이었다.

정부는 지난 2009년 4월부터 임산부가 복용할 경우 태아에게 저체중 또는 기형을 유발하거나 태아 및 임산부 건강에 악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있는 314개 성분의 의약품을 임부 금기 약물로 지정한 바 있다.

이에 앞서 지난 2004년부터는 소아 등 특정 연령대에 사용이 금지된 연령 금기 의약품, 함께 먹어서는 안되는 약품인 병용 금기 의약품을 지정해 처방하지 않도록 하고 있다.

또 이런 임부 금기, 연령 금기, 병용 금기 처방을 예방하기 위해 의약품처방조제지원시스템(DUR)을 운영하고 있는데, 실제 DUR 프로그램을 활용한 비율은 지난달 말 기준으로 95.9%(6만6천44개 기관 중 6만3천322개 기관)에 달한다. 그러나 나머지 2천722개 기관은 DUR에 참여하지 않고 있다.

이번에 지적된 임부·연령·병용 금기 처방 역시 DUR 시스템에 참여하지 않는 기관에서 발생했을 가능성이 있는 만큼, 당국의 조속한 조처가 있어야 한다는 게 최 의원의 지적이다.

최 의원은 “안전하고 적정한 의약품 사용을 위해 모든 의료기관이 DUR 시스템에 참여하도록 보건당국의 정기적인 지도점검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연합뉴스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