론스타 재상고 포기… 외환銀 매각 급물살 탄다

론스타 재상고 포기… 외환銀 매각 급물살 탄다

입력 2011-10-14 00:00
업데이트 2011-10-14 00:2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하나금융, 주식 전량인수 유력

론스타에 선고된 유죄 판결이 확정되면서 외환은행 매각 작업이 급물살을 타고 있다. 금융위원회는 오는 19일 전체회의를 열고 론스타가 외환은행 지분을 소유할 자격이 없다고 선언한 뒤 보유 지분 51.02% 가운데 41.02%에 대한 강제매각 명령을 내리기로 했다. 이미 인수 계약을 맺은 하나금융이 론스타의 외환은행 주식을 전량 인수하는 방안이 유력한 대안으로 검토되고 있다.

●“헐값 인수후 금값 매각” 비난 일어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13일 서울 강남구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KRX엑스포 개막식에서 기자들과 만나 “론스타 측이 외환카드 주가조작 사건과 관련해 대법원 상고를 하지 않겠다고 전해 왔다.”면서 “검토를 거쳐 다음 주초 론스타 대주주 적격성과 관련된 (금융위원회의) 판단 일정을 발표하겠다.”고 말했다. 김 위원장은 외환은행 주식 처분 명령을 위한 법률검토 작업에 대해 “오래 걸리지 않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문제는 매매 가격이다. 금융권 안팎에서는 헐값으로 외환은행을 인수한 론스타가 금값으로 매각하고 떠난다는 비판이 제기된다. 론스타가 하나금융과 계약을 맺을 당시인 지난 7월 외환은행 주식 1주당 1만 3390원(4조 6888억원)으로 매각대금을 산정했지만, 최근 주가가 8000원을 밑돌고 있다. 하나금융 측 입장도 론스타 유죄 판결 뒤 미묘하게 변하고 있다. 유죄 선고 당일인 지난 6일에는 “주가가 떨어진 게 외환은행의 가치가 떨어졌다는 의미가 아니기 때문에 가격 재협상을 생각하기 어렵다.”는 입장이었지만, 점차 “론스타가 상고 기간 동안 어떻게 움직이는지를 본 뒤에 생각할 문제”라는 식으로 하나금융 측의 분위기가 다소 유연해졌다.

재협상이 이뤄지면, 그 차액은 1조원가량이 될 것이라는 관측도 있다. 통상 경영권 프리미엄을 30~40% 수준으로 잡는다면, 주당 1만 300~1만 1100원대 가격이 적당하다고 인수·합병(M&A) 전문가들은 말한다. 따라서 3조 3900억~3조 6500억원대의 가격대가 형성된다. 이와 관련, 하나금융과 론스타 측 모두 “아직 가격 협상을 한 적이 없다.”며 의견 표명을 자제했다.

론스타의 상고 포기를 한국 철수에 대한 강한 의지표명으로 받아들이는 쪽에서도 가격 재협상 가능성을 높게 봤다. 2003년 2조 1549억원을 들여 외환은행 대주주가 된 론스타는 지금까지 일부 지분 매각과 배당을 통해 원금을 모두 회수했다. 하나금융으로부터 받는 돈은 매각차익으로 순이익이 되는 셈이다.

●외환銀 노조 “주주 적격성 판단을”

한편 외환은행 노조는 이날 저녁 서울 여의도 금융위 앞에서 촛불시위를 열었다. 이들은 “재판 결과와 별도로 론스타가 일본에 골프장을 소유한 산업자본임이 드러났는데, 당국이 이와 관련된 주주적격성 판단을 미루고 있다.”면서 “론스타가 산업자본이라는 점이 입증되면 외환은행 지분을 4%밖에 소유하지 못하는 소액주주가 되기 때문에 하나금융과 맺은 계약 자체가 원천무효가 된다.”고 주장했다.

홍희경기자 saloo@seoul.co.kr

2011-10-14 22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