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석동 금융위원장 “직불카드 소득공제 확대 필요”

김석동 금융위원장 “직불카드 소득공제 확대 필요”

입력 2011-10-22 00:00
업데이트 2011-10-22 00:3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김석동 금융위원장은 21일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 논란과 관련해 정부가 직불형카드(직불카드, 체크카드)의 소득공제를 추가 확대하는 방안도 고려해야 한다고 밝혔다. 소비자들의 직불형 카드 사용을 늘려 신용카드 가맹점 수수료 갈등을 근본적으로 해결하겠다는 의미다.

이미지 확대
21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국금융연구원 조찬 강연회에서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우리나라의 금융경제 여건과 향후 금융정책 방향’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21일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열린 한국금융연구원 조찬 강연회에서 김석동 금융위원장이 ‘우리나라의 금융경제 여건과 향후 금융정책 방향’이라는 주제로 강연을 하고 있다.
연합뉴스
김 위원장은 이날 시내 한 호텔에서 열린 금융연구원 주최 조찬강연에 앞서 기자들과 만나 “직불카드를 활성화하려면 편하게 쓸 수 있고 (사용자에게) 도움이 돼야 한다.”면서 “소득공제를 늘리는 것도 생각해볼 수 있는 부분”이라고 밝혔다. 현재 카드 사용자는 연소득의 25%를 초과하는 금액 가운데 신용카드는 20%, 직불카드는 25%의 소득공제율을 적용한다. 정부는 직불형카드 소득공제율을 내년부터 30%로 높이는 세법 개정안을 발의했는데, 김 위원장의 언급은 중장기적으로 이를 더 늘려야 한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그는 “올해 안에 신용카드 구조개선 대책을 마련하고 가맹점 수수료를 낮출 근본적 방안을 만들겠다.”면서 “직불카드를 활성화하고 사용하지 않는 ‘장롱카드’를 없애는 등 종합대책을 강구할 것”이라고 말했다.

금융위가 마련할 ‘직불형카드 활성화 방안’의 전제는 크게 두 가지다. 직불형카드를 신용카드보다 사용하기 편리한 환경을 만들고, 신용카드보다 직불형카드를 사용했을 때 소비자가 얻는 이익이 커야 한다는 것이다. 금융위 관계자는 “단기대출인 신용카드보다 결제 비용이 싼 직불카드 사용이 확대돼야 금융소비자들의 결제 편의성을 해치지 않으면서 가맹점 수수료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직불형 카드는 신용카드와 달리 4%대 이자를 지급하는 자금조달비용이 없다.

하지만 향후 정부 여당의 법제화로 신용카드 수수료를 일괄적으로 1.5%로 제한하는 경우 직불형카드 수수료가 지나치게 높다는 비판을 피할 수 없게 된다. 현재 직불형카드의 수수료는 1.7%선으로, 카드업계는 직불형카드가 신용카드보다 이익이 더 있다고 인정하는 상황이다. 또 직불형카드 활성화를 위해 직불형카드에 신용카드와 같은 정도로 포인트 등 부가 혜택을 늘릴 경우 직불형카드도 가맹점수수료를 현재와 같이 낮은 수준에서 유지할 수 없다. 결국 신용카드의 혜택을 직불형카드처럼 줄여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하지만 이 역시 카드사들이 상황에 따라 소비자 혜택을 고무줄처럼 늘였다 줄였다 한다는 비난을 피하기 어렵다.

이경주기자 kdlrudwn@seoul.co.kr

2011-10-22 15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