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폭의 힘?

소폭의 힘?

입력 2011-10-27 00:00
업데이트 2011-10-27 01:50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소주·맥주 소비 3년만에↑ 위스키는 같은기간 60%↓

수년간 감소세를 보였던 소주와 맥주 소비량이 올해 소폭이나마 반등하고 있다. 위스키 소비는 3년 전보다 무려 60%나 소비량이 떨어지는 등 감소세를 이어가고 있다.

이미지 확대
26일 한국주류산업협회에 따르면 올 1∼8월 맥주 출고량은 124만 9799㎘로 지난해 같은 기간(121만 2946㎘)보다 3% 늘어난 것으로 집계됐다. 연도별 1∼8월 맥주 출고량은 2008년 127만 7777㎘에서 2009년 124만 5228㎘, 지난해 121만 2946㎘ 등으로 해마다 줄어들다가 올 들어 3년 만에 하락세를 끝내고 반등한 것이다.

소주도 비슷하다. 1∼8월 소주 출고량은 80만 9891㎘로 지난해 동기(80만 1150㎘)에 비해 1% 이상 증가했다. 소주 출고량(1∼8월) 역시 2008년 84만 7602㎘에서 2009년 83만 1765㎘, 지난해 80만 1150㎘ 등으로 꾸준히 줄어들다 올 들어 약간 늘어났다. 주류 업계 관계자는 “맥주와 소주가 상승세로 돌아선 것은 최근 직장인들에게 널리 확산되고 있는 소·맥 폭탄주(소주와 맥주 혼합주)의 영향에서 비롯된 것 같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위스키는 국내 주류 시장에서 수년째 약세를 면치 못하고 있다. 연도별 8월까지의 위스키 출고량은 2008년 5621㎘에서 2009년 3597㎘, 지난해 2890㎘로 줄었고 올해에는 2321㎘로 더 떨어졌다. 3년 전과 비교하면 60%가량 급감한 셈이다.

주류업계는 이에 대해 최근 경기 회복에 대한 기대감이 살아나면서 회식이나 모임 등이 잦아져 소주와 맥주 소비가 늘어나는 것으로 분석했다. 반면 과거 경기 변동의 ‘척도’로 여겨졌던 양주는 음주 문화가 독한 술보다 순한 술을 찾는 쪽으로 바뀌는 데다 섞어 마시더라도 맥주에 양주보다 소주를 섞는 ‘소폭’이 대세로 자리를 잡으면서 소비층과 소비량이 점차 줄어드는 게 아니냐는 해석이 나오고 있다.

또 알코올 도수 17도 이하의 순한 소주가 약진하면서 소주 소비층이 여성으로 확대된 것도 영향을 준 것으로 업계는 풀이했다. 올 상반기에 순한 소주는 4만 5209㎘가 출고돼 전체 희석소주 시장에서 7.52%의 점유율을 보이고 있다.

오일만기자 oilman@seoul.co.kr

2011-10-27 17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