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물가 탓에”… 올해 실질임금 인상 1%대 초반

“물가 탓에”… 올해 실질임금 인상 1%대 초반

입력 2011-12-12 00:00
업데이트 2011-12-12 00:14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中企직원은 마이너스 우려

올해 실질임금 인상률은 1%대 초반에 그칠 전망이다. 지난해 1%대 후반대보다 악화됐고 경기 둔화가 예상되는 내년에는 더욱 악화될 전망이다.

이미지 확대
11일 고용노동부에 따르면 올 들어 11월 말까지 협약임금 인상률은 5.2%다. 협약임금 인상률은 임금교섭이 타결된 사업장에서 노사가 사전 합의한 임금의 인상률로 초과급여나 특별상여금을 제외한 정액급여와 고정상여금 등이 포함된다. 11월 말 현재 임금교섭 타결률이 81.0%에 달해 12월 협상 결과가 반영되더라도 연간 임금인상률은 이 수준을 유지할 전망이다.

인상률 5.2%는 지난해 4.8%보다 0.4% 포인트 높은 것이며 2004년 5.2% 이후 7년 만에 5%대 인상률이다. 그러나 물가가 급등, 실제 근로자가 체감할 수 있는 인상률은 미미할 전망이다.

올 들어 11월까지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0%다. 임금 인상률에서 물가상승률을 제외하면 실질임금 상승률은 1.2%에 머문다.

실질임금 상승률 둔화는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부터 시작됐다. 이전에는 소비자물가는 2~3% 선에서 안정되고 임금은 4~5%가량 오르면서 실질임금 인상률은 2%대를 기록했다. 실질임금 상승률은 2005년 1.9%, 2006년 2.6%, 2007년 2.3% 등이었다.

그러나 2008년 소비자물가가 4.7% 오른 반면 임금인상률은 4.9%에 그쳐 실질임금은 0.2% 상승에 그쳤다. 다음 해인 2009년에는 물가 상승률(2.8%)이 임금인상률(1.7%)을 웃돌아 실질임금이 사실상 마이너스였다. 지난해에는 물가 상승률은 3%를 기록했으나 임금인상률이 4.8%를 기록하면서 실질임금 인상률 1.8%로 개선되는 조짐이었으나 일년을 넘기지 못한 셈이다.

고용부가 집계하는 협약임금 인상률은 상시근로자 100인 이상의 사업장을 대상으로 한다. 일반적으로 100인 이하 중소기업이나 영세사업장들은 대규모 사업장보다 임금인상률이 떨어진다. 즉 중소사업장에서 일하는 근로자들은 물가상승률을 고려할 경우 올해 실질임금 인상률이 제로에 가깝거나 마이너스가 될 수도 있다는 뜻이다.

문제는 내년이다. 내년에 물가는 안정될 전망이나 세계경제 둔화로 인해 기업들의 임금상승 여력도 둔화, 실질임금 상승률 정체 현상은 계속될 전망이다. LG경제연구원 윤상하 책임연구원은 “중소기업이나 자영업 경기는 더 나쁠 것으로 보여 취약계층의 어려움이 심화될 우려가 있다.”고 내다봤다.

전경하기자 lark3@seoul.co.kr

2011-12-12 14면
많이 본 뉴스
종부세 완화, 당신의 생각은?
정치권을 중심으로 종합부동산세 완화와 관련한 논쟁이 뜨겁습니다. 1가구 1주택·실거주자에 대한 종부세를 폐지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종부세 완화에 대한 당신의 생각은?
완화해야 한다
완화할 필요가 없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