홈플러스 ‘무늬만 편의점’ 진출?

홈플러스 ‘무늬만 편의점’ 진출?

입력 2011-12-22 00:00
업데이트 2011-12-22 00:18
  • 글씨 크기 조절
  • 프린트
  • 공유하기
  • 댓글
    14

“변형된 형태의 SSM” 비판 일어 신선식품 구비 ‘슈퍼형’ 가능성

3대 대형마트 가운데 하나인 홈플러스가 ‘365플러스 편의점’이란 이름으로 편의점 가맹사업에 진출한다.

홈플러스는 공정거래위원회의 편의점 가맹 사업을 위한 정보공개서에 등록해 지난달 30일 최종 승인을 받았다고 21일 밝혔다.

홈플러스 관계자는 “베이비붐 세대의 은퇴 문제가 중요한 사회적 이슈로 대두되는 시점에 대형 유통업체로서 이들이 소자본으로 창업해 안정적인 수익을 낼 수 있는 모델을 제공하고자 편의점 가맹 사업을 시작하게 됐다.”고 설명했다. 홈플러스의 편의점 사업 진출설은 올 초부터 나돌았다. 이를 위해 서울 성수동 소재 연구개발센터에 테스트 매장을 열고 시범 운영을 해 왔으며, 내년 초쯤 첫 매장을 개설할 것으로 알려졌다.

업계에서는 유통산업발전법 등 대형마트와 기업형슈퍼마켓(SSM) 규제법을 피해 가기 위한 것 아니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홈플러스가 추진하는 편의점 사업이 변형된 형태의 SSM이라는 비판도 고개를 들고 있다.

편의점은 유통법 적용 대상이 아니어서 신규 출점에 특별한 제한이 없고, 시장 또한 꾸준히 성장하고 있는 점이 매력으로 꼽히고 있다. 한국편의점협회에 따르면 올해 전국의 편의점 수는 2만개를 넘어섰고, 매출은 9조 8500억원으로 10조원 돌파가 예상된다. 2007년 이후 시장은 해마다 12~17%의 성장을 거듭해 오고 있다.

업계 일각에서는 홈플러스가 후발주자로서 경쟁력을 갖추기 위해 매장 규모와 취급 품목을 대폭 늘린 ‘슈퍼형 편의점’을 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132~165㎥(40~50평) 이상의 대형 매장에 1차 상품인 농축수산물의 비중을 높이고 저가 공세를 펼치는 ‘무늬만 편의점’으로 가격 경쟁력 대신 접근성과 편리성을 내세우는 편의점 업태의 본질을 흐리지 않을까 우려하고 있다.

이에 대해 홈플러스 관계자는 “SSM 문제를 피하기 위해 변종 편의점을 연다는 것은 전혀 사실이 아니다.”라면서 “2009년에도 소자본 창업이 가능한 ‘홈플러스 상생 프랜차이즈’라는 슈퍼마켓 가맹점 모델을 개발했다. 편의점도 그 차원”이라고 강조했다.

박상숙기자 alex@seoul.co.kr

2011-12-22 21면
많이 본 뉴스
국민연금 개혁, 당신의 생각은?
더불어민주당은 국민연금 개혁과 관련해 ‘보험료율 13%·소득대체율 44%’를 담은 ‘모수개혁’부터 처리하자는 입장을, 국민의힘은 국민연금과 기초연금, 각종 특수직역연금을 통합하는 등 연금 구조를 바꾸는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며 맞서고 있습니다. 당신의 생각은?
모수개혁이 우선이다
구조개혁을 함께 논의해야 한다
모르겠다
광고삭제
위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