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평가사 무디스는 한국 가계부채 증가가 한국 금융권 신용등급에 부정적이라고 25일 평가했다.
무디스는 최근 통계청·한국은행·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가계부채 현황에서 금융부채를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재무건전성 비율 등 여러 지표들이 악화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중하층 가계들의 부채 상황이 급속히 나빠지고 있다고 무디스는 지적했다.
이는 은행 대출을 긴축해 가계부채를 줄이려는 규제 당국의 조치로 인해 대출 수요가 은행에서 은행 외 대출기관으로 이동하면서 오히려 상황이 악화됐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무디스는 분석했다.
무디스는 한편 우리F&I의 매각과 연합자산관리(유암코)의 지분 구조 개편 계획이 한국 은행권의 신용등급에 긍정적이라고 밝혔다.
무디스는 은행 계열사인 우리F&I와 연합자산관리가 지배하는 현 부실채권 시장 구조가 잠재적인 위험성을 안고 있어 매각으로 이들 기관의 은행 보유 지분이 상당히 줄어드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부실채권의 주요 매각 주체인 은행들이 또한 부실채권의 양대 매입 주체인 이들 기관의 주주인 현 부실채권 시장 구조는 잠재적 위험성을 수반하면서 앞으로 계속 시장에서 비판받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무디스는 덧붙였다.
연합뉴스
무디스는 최근 통계청·한국은행·금융감독원이 발표한 가계부채 현황에서 금융부채를 처분가능소득으로 나눈 재무건전성 비율 등 여러 지표들이 악화되는 추세를 보여주고 있다고 설명했다.
특히 중하층 가계들의 부채 상황이 급속히 나빠지고 있다고 무디스는 지적했다.
이는 은행 대출을 긴축해 가계부채를 줄이려는 규제 당국의 조치로 인해 대출 수요가 은행에서 은행 외 대출기관으로 이동하면서 오히려 상황이 악화됐음을 시사하는 것이라고 무디스는 분석했다.
무디스는 한편 우리F&I의 매각과 연합자산관리(유암코)의 지분 구조 개편 계획이 한국 은행권의 신용등급에 긍정적이라고 밝혔다.
무디스는 은행 계열사인 우리F&I와 연합자산관리가 지배하는 현 부실채권 시장 구조가 잠재적인 위험성을 안고 있어 매각으로 이들 기관의 은행 보유 지분이 상당히 줄어드는 것은 바람직하다고 설명했다.
부실채권의 주요 매각 주체인 은행들이 또한 부실채권의 양대 매입 주체인 이들 기관의 주주인 현 부실채권 시장 구조는 잠재적 위험성을 수반하면서 앞으로 계속 시장에서 비판받는 요인이 될 것이라고 무디스는 덧붙였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