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카드 대출 이용자의 69%는 중·고소득층

신용카드 대출 이용자의 69%는 중·고소득층

입력 2014-04-30 00:00
수정 2014-04-30 13:24
  • 기사 읽어주기
    다시듣기
  • 글씨 크기 조절
  • 댓글
    0

30∼40대 이용자가 60.2%

카드론과 현금서비스 등 신용카드 대출을 이용하는 사람의 69.1%는 연소득 3천만원 이상을 버는 계층인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은행은 30일 국회에 제출한 금융안정보고서에서 이처럼 분석했다.

작년말 신용카드 대출 잔액을 이용자의 소득계층별로 보면 연소득 3천만∼4천만원 계층이 전체 잔액의 37.1%를 보유했고 4천만∼5천만원이 18.5%, 5천만원 이상이 13.5%였다. 연소득 2천만∼3천만원은 23.4%, 2천만원 미만은 7.5%였다.

신용등급별로는 고신용(1∼4등급) 비중이 40.1%, 중신용(5∼6등급) 비중이 37.4%, 저신용(7등급 이하) 비중이 22.5%를 차지했다.

이용자 연령대는 30∼40대가 60.2%로 대다수였다. 직업은 임금근로자가 77.1%, 자영업자가 18.5%였다.

그러나 신용카드 대출자 가운데 저신용자만 따로 떼서 보면 20대 이하가 24.0%로 가장 많았다. 20대 이하 대출자 중 연소득이 2천만원에 못 미치는 비중은 28.9%로 다른 연령대(5.4%)에 견줘 두드러지게 높았다.

또 대출금리를 보면 카드론 차주의 30%, 현금서비스 차주의 63.0%가 연 20% 이상의 고금리 대출상품에 의존하고 있었다.

카드론을 이용하는 사람 중 2개 이상의 신용카드회사로부터 대출을 받은 ‘복수카드론 차주’도 늘었다.

복수카드론 차주의 비중은 2011년말 29.8%에서 지난해 말 30.3%로 올랐다. 3개 이상의 기관에서 카드론을 이용하는 이들 비중도 같은 기간 7.0%에서 7.7%로 상승했다.

카드대출 이용자 중 다른 금융사에서도 돈을 빌린 이용자의 비중은 지난해 말 68.2%에 달했다.

이들 중·고금리 대출 비중이 높은 할부·리스금융회사에 18.6%, 상호저축은행에 8.3%가 몰려 있다.

이들은 은행을 이용하는 차주보다 연체율이 높아 부실이 발생할 가능성이 상대적으로 크다고 한은은 우려했다.

카드대출자 중 연소득 대비 원리금 상환액(DSR)이 40%를 넘는 과다채무자 비중도 늘고 있다. DSR이 40%를 넘는 차주 비중은 2013년 현재 24.5%로 은행 채무자의 평균 DSR(13.6%)를 크게 웃돌았다.

한은은 “고금리 대출 이용자 비중이 높은 과다채무자, 다중채무자 등 취약계층에서 카드대출 차주가 늘고 있다”면서 “신용카드사의 경영건전성 유지 차원에서 위험관리를 강화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연합뉴스
Copyright ⓒ 서울신문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close button
많이 본 뉴스
1 / 3
전과자의 배달업계 취업제한 시행령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강력범죄자의 배달원 취업을 제한하는 내용의 시행령 개정안이 의결된 가운데 강도 전과가 있는 한 배달원이 온라인 커뮤니티에 “속죄하며 살고 있는데 취업까지 제한 시키는 이런 시행령은 과한 ‘낙인’이다”라며 억울함을 호소했다. 여러분의 생각은 어떤가요?
전과자의 취업을 제한하는 이런 시행령은 과하다
사용자의 안전을 위한 조치로 보아야 한다.
광고삭제
광고삭제
위로